일본, 역대급 폭염·비축 수요에 쌀값 2배 급등
정부, 쌀 과잉생산 해소책으로 수출 확대 추진
정부, 쌀 과잉생산 해소책으로 수출 확대 추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일본에 수출한 한국산 쌀은 모두 416톤에 이른다. 1990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대치다.
이전까지 일본 수출 최대치였던 2012년 16톤은 동일본 대지진 당시 구호물자로 보냈던 것이 전부였다. 올해 상반기 수출량은 이때와 견줘도 26배나 늘어난 수치다.
이러한 현상은 일본의 쌀값 급등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은 지난해 기록적인 폭염으로 쌀 생산량이 줄어든 데다 지진 등에 대비한 비상용 쌀 비축 수요가 늘고 정부 비축미 방출이 늦어진 탓에 값이 크게 올랐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지난 5월 일본 안의 쌀 평균 판매가는 5㎏에 4200엔으로, 한 해 전보다 두 배나 치솟았다. 1㎏에 341엔에 이르는 높은 관세를 물더라도 한국산 쌀의 가격 경쟁력이 생긴 셈이다. 실제로 일본 현지에서 파는 한국산 쌀은 4㎏에 4000엔 선으로 일본산과 값이 비슷해졌으며, 수출이 가장 많았던 달도 5월이었다.
◇ "가격 경쟁력 생겼다"…일본 쌀값 급등이 부른 나비효과
일본 시장 변화를 수출 확대 기회로 삼으려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도 있다. 경상남도 하동군은 지난 5월 지역에서 생산한 쌀 80톤을 일본에 처음으로 보냈으며, 올해 안에 200톤을 더 수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수출 확대 반갑지만…고질적인 공급 과잉은 숙제
한편 한국은 오랜 쌀 공급 과잉 문제를 겪고 있다. 식생활이 다양해져 쌀 소비가 크게 줄어든 탓이다. 2000년 한 사람 앞에 93.6㎏이었던 한 해 쌀 소비량은 2024년 55.8㎏으로 40%나 줄었다. 일본의 소비량 감소세와 비교해도 훨씬 가파른 속도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20만 톤 넘는 쌀이 남아돈다. 정부는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올해 전체 재배 면적의 11%인 8만 헥타르를 줄이는 등 강력한 생산 감축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실제 감축 실적은 해마다 1%대에 그쳐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은 실정이며, 갑작스러운 생산량 감축이 식량 안보를 흔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쌀값 안정을 위한 정책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현재 국회에서는 쌀값이 기준치 아래로 떨어지면 정부가 초과 생산량을 모두 사들이도록 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심의하고 있다. 다만 일본과 한국의 쌀 시장 구조가 다른 탓에 현재의 수출 급증세가 계속될지, 그 미래는 아직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