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국민 절반, 식료품값에 ‘고통’ 호소…“장보기 스트레스 심각”

글로벌이코노믹

美국민 절반, 식료품값에 ‘고통’ 호소…“장보기 스트레스 심각”

지난 2022년 8월 1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마운트플레전트 지역의 엘 프로그레소 마켓에서 직원이 식료품을 정리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2년 8월 1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 마운트플레전트 지역의 엘 프로그레소 마켓에서 직원이 식료품을 정리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에서 식료품값이 생활 전반의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과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상당수의 미국 가계가 식료품비와 주거비 등 생계비 부담을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이하 현지시각) AP통신과 여론조사기관 NORC 공공문제연구센터가 최근 공동 실시한 전국 단위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3%는 ‘식료품값’을 현재 ‘심각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꼽았다. ‘약간의 스트레스 요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3%, ‘전혀 스트레스 요인이 아니다’는 답변은 14%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0~14일 미국 성인 143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 “장보기가 무섭다”…식료품값 체감 물가 급등

미국 소비자들은 최근 수개월간 쇠고기, 달걀, 채소, 곡물 등 주요 생필품의 가격이 급등했다고 체감하고 있다. 특히 중산층 이하 계층에서는 장바구니 물가의 상승이 곧바로 생활고로 이어지고 있다. 일리노이주 마운트프로스펙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던 한 소비자는 “예전보다 고기값이 눈에 띄게 올라 이제는 육류를 매일 사먹기가 부담스럽다”고 토로했다.

같은 조사에서는 ‘주거비’ 또한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확인됐다. 응답자의 47%가 ‘주거비가 심각한 스트레스 요인’이라고 답했고, 27%는 ‘약간의 스트레스’, 25%는 ‘전혀 아니다’고 응답했다. 주택 임대료와 대출금 상환 부담이 함께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인들의 경제적 압박이 다방면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트럼프 경제, ‘경고음’…고용 둔화 본격화


경제 불안 심리는 통계 지표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미국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이 지난달 발표한 7월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개월간 미국 내 신규 고용 증가폭은 총 10만6000명에 그쳤다. 이는 월평균 약 3만5000명 수준으로 경기 회복세가 주춤하고 있다는 평가다.

고용 둔화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과도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초부터 유럽연합(EU), 캐나다, 중국 등과의 무역 마찰을 본격화하며 주요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해왔다. 이에 따라 기업 투자와 생산 활동이 위축되고, 일부 대기업은 신규 채용을 보류하거나 구조조정에 나서는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관세 정책으로 수입 비용이 증가해 전반적인 생산비와 소비자 물가를 밀어올리고 있다”며 “결국 미국 서민들이 장바구니 물가와 주거비 상승이라는 직접적인 피해를 받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