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EU 돼지고기에 최대 62% 관세 부과…무역 분쟁 격화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EU 돼지고기에 최대 62% 관세 부과…무역 분쟁 격화

중국, EU산 돼지고기 반덤핑 조사 후 9월 10일부터 고율 관세 적용
EU는 증거 부족 반발하며 WTO 대응 예고
중국이 지난 6월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를 매긴 것에 따른 보복 조치로 유럽연합(EU)산 돼지고기에 최대 62.4%의 잠정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이미지=GPT4o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이 지난 6월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를 매긴 것에 따른 보복 조치로 유럽연합(EU)산 돼지고기에 최대 62.4%의 잠정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이미지=GPT4o
중국이 유럽연합(EU)산 돼지고기에 최대 62.4%의 잠정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지난 5(현지시각) 에포크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지난 6EU가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를 매긴 것에 따른 보복 조치로, 910일부터 시행된다.

◇ 중국의 반덤핑 조사와 관세 부과 배경


중국 상무부는 지난 5EU에서 수입한 돼지고기와 부산품이 중국 시장에서 덤핑 가격으로 판매돼 국내 생산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는 예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신선 및 냉동 돼지고기뿐 아니라 귀, , , 장 등 내장까지 광범위하게 이뤄졌다. 돼지고기 수출국 중 스페인, 네덜란드, 덴마크가 특히 큰 타격을 받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관세율은 조사에 협조하는 기업에 15.6~32.7%, 협조하지 않는 업체에는 최대 62.4%까지 적용한다. 중국은 지난해 6EU가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를 부과한 지 몇 달 지나지 않아 돼지고기 조사를 시작했다.

◇ 중국의 돼지고기 수입 현황


중국의 돼지고기 수입량에 관한 공식 통계는 기관별로 차이가 있지만, 미국 농무부(USDA)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돼지고기 수입량은 약 155만 톤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는 2023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150만 톤 내외에서 오르내린다.

한편 유럽연합(EU)이 발표한 2024년 돼지고기 수출량은 약 426만 톤이고, 이 가운데 중국으로 수출되는 돼지고기는 약 110만 톤 내외로 파악된다.

이 두 통계는 수집 시기, 집계 대상, 세부 품목 범위에 차이가 있어 돼지고기 수입량 155만 톤과 EU 수출량 110만 톤이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중국이 최대 돼지고기 수입국이며, EU는 주요 공급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은 2024년에 돼지고기 수입량이 전년 대비 약 30.8% 줄었는데도 여전히 세계 최대 돼지고기 수입국이다. EU에서 중국으로 수출된 EU 돼지고기는 EU 전체 수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중국은 여전히 EU 돼지고기의 최대 수출시장이다.

유럽 내 돼지고기 생산량 대비 중국 수출 비율은 정확한 통계가 없으나, EU 돼지고기 생산량은 연간 2400~2600만 톤 정도이고, 이 중 10% 이상의 물량이 해외로 수출되는 점을 고려하면, 생산량 대비 중국 수출량 비중은 4~5% 내외로 추산할 수 있다.

주요 수출국은 스페인(134만 톤), 네덜란드, 덴마크가 상위권이며 중국으로 수출되는 돼지고기는 냉동육류뿐 아니라 내장 등 부속품 비중도 매우 크다.

EU의 반발과 글로벌 무역 긴장


EU 집행위원회는 중국의 움직임이 증거 부족과 의심스러운 혐의에 근거했다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집행위 대변인은 유럽 내 생산자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프랑스 돼지고기 단체 인아포르크(Inaporc)Anne Richard 이사는 이번 관세 부과 소식이 유럽 전역 돼지고기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관세는 잠정 조치라 12월 조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이 사태는 지난해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 관세를 100%로 크게 올리면서 시작된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 상황과 맞물린다. 중국은 내수 둔화에 대응해 수출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이에 EU 및 미국과 산업 경쟁에서 마찰이 점점 커지고 있다.

중국이 부과한 최대 62.4%의 반덤핑 관세는 EU 돼지고기 수출에 커다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이며, 무역 갈등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양측이 국제무역기구(WTO) 규칙 내에서 대응과 협상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