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태양광 EPC 산업, 수익 한계 속 구조적 위기…그랜드썬, ‘AI 전환’으로 돌파 모색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태양광 EPC 산업, 수익 한계 속 구조적 위기…그랜드썬, ‘AI 전환’으로 돌파 모색

중국산 모듈 공세에 마진 축소·허가 규제 발목…POSCO·KAI 등과 협력 확대
AI 예측정비·디지털 O&M 강화로 차별화 시도…정책 개혁 없인 산업 지속성 불투명
대한민국 인천에 있는 한국동남발전(KOSEP)의 태양광 발전소 패널 위로 풍력 터빈이 보인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대한민국 인천에 있는 한국동남발전(KOSEP)의 태양광 발전소 패널 위로 풍력 터빈이 보인다. 사진=로이터
한국의 태양광 산업이 결정적인 국면에 접어들었다. 10년 전만 해도 성장은 발전차액지원제도, 관대한 보조금, 한국 제조업체를 글로벌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산업 정책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오늘날 국내 웨이퍼 및 모듈 생산업체들은 보조금 체계가 현저히 덜 관대해지고 프로젝트 개발자들이 허가 및 토지 사용 규칙에 대해 점점 더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면서 저렴한 중국 수입품에 입지를 잃고 있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각) 인텔리뉴스 프로가 보도했다.

태양광 프로젝트를 설계, 건설, 유지 관리하는 엔지니어링·조달·건설(EPC) 회사들의 과제는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국내 기업 중 2005년 설립된 그랜드썬은 중견 EPC가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예로 눈에 띈다. 이 회사는 '토탈 솔루션' 제공업체로 자처하며 현장 평가 및 허가, 시스템 설계 및 조달, 건설 및 시운전, 장기 운영 및 유지 관리 등 전체 태양광 가치 사슬에 걸쳐 있다.
부산과 경북에 지역 지사를 둔 그랜드썬은 약 15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시장 진입 이후 500개 이상의 상업 규모 프로젝트와 수천 개의 주거용 설치를 수행했다. 2024년 매출은 1100억 원(7840만 달러)을 기록했다.

그러나 규모만으로는 한국의 혼잡한 EPC 분야에서 생존을 보장할 수 없다. 중국 모듈이 수입을 지배하면서 현지 업체의 마진을 압박하고 있다. 동시에 한국에서 국내 태양광 제조 기반이 약화되어 EPC 업체들이 곤경에 처했다. 한때 한국의 주력 생산업체였던 한화큐셀은 최근 몇 년 동안 글로벌 생산 능력 과잉에 대응하여 한국 시설을 축소했다.

그랜드썬의 대응은 EPC 품질의 핵심인 서비스, 보증, 디지털화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POSCO, IKEA, DENSO, 한국항공우주산업과 같은 회사와의 파트너십이 크게 도움이 된다. 회사는 AI 지원 원격 모니터링, 예측 유지 관리, 디지털 도구를 강조하며 생산량을 늘리고 수명 주기 비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수요의 광범위한 변화를 반영하는 전략이다. 발전차액지원제도가 축소됨에 따라 기업 및 주거 부문 고객은 장기적인 에너지 자급자족, 전기 비용 절감, 지속 가능성 목표에 더 많은 동기를 부여받는다. RE100 서약 대상 기업들은 규정 준수 및 모니터링 도구와 함께 번들로 제공되는 턴키 프로젝트를 원한다.

그랜드썬은 2021년 BBB+ 국내 신용 등급을 받아 재정적 신뢰성을 강조한다. "기업을 통해 국가에 봉사하고, 기업을 통해 국가와 사회에 공헌한다"는 기업 철학은 사회적 책임과 비즈니스 정체성을 일치시키려는 노력을 반영한다.

그러나 앞으로의 과제는 구조적이다. 한국의 태양광 건설은 규제 병목 현상과 5000만 명이 넘는 산악 국가의 제한된 가용 토지로 인해 제약을 받고 있다. 옥상 프로젝트는 건축 법규 준수와 일부 지역의 반대에 직면하고, 대규모 지상 설치 프로젝트의 부지 지정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발전량의 21.6%를 사용한다는 한국의 목표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제공하고 유지할 수 있는 강력한 EPC 부문을 통해서만 달성될 것이다. 그러나 정책 환경은 이를 제공해야 하는 기업의 건전성보다 헤드라인 생산 능력 추가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너무 많다.

그랜드썬은 국내 프로젝트에 의존하기 때문에 한국 정책 및 기업 수요 주기의 변화에 취약하다. 장기적 생존은 업계와 정부 정책이 한국의 태양광 건설을 제한하는 구조적 문제를 얼마나 빨리 해결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