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번 주 한국에서 열릴 정상회담을 앞두고 무역전쟁 완화를 위한 ‘관세 휴전 합의’를 추진하고 있지만 이번 합의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27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도착해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와 회담을 갖고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일정을 소화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순방에서 중국과의 무역갈등 완화를 목표로 협상을 이어가고 있으며 시 주석과의 회담은 30일 한국에서 열릴 예정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쿠알라룸푸르 현지 기자회견에서 “양국 정상이 서명할 수 있는 틀 합의에 도달했다”며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재개, 희토류 수출제한 1년간 유예, 그리고 미국 내 틱톡(TikTok) 매각 문제에 대한 최종 타결안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중국 측 협상대표인 리청강 상무부 부부장도 “양측이 ‘예비적 합의’를 이뤘다”면서 “양국이 각각 내부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타임은 그러나 이번 합의가 실질적인 돌파구로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미국과 중국이 최근 상호 보복성 조치로 관세를 최고 130%까지 상향하고 희토류 및 영구자석 수출 제한을 강화해왔다는 점에서다.
종자이안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방식은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이 아니라 ‘교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이번에도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타임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캐나다 정부의 대(對)미국 관세 비판 광고를 이유로 캐나다산 철강·목재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사례를 언급하며 트럼프 행정부가 합의 후에도 돌연 협정을 폐기하거나 수정한 전례가 많다고 전했다.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연구원의 왕이웨이 소장은 “중국과 미국의 관계는 과거로 돌아갈 수는 없지만 양국 모두 경제적 연착륙과 세계 경기 안정이 필요하다”며 “이번 회담이 최소한 대화의 지속적 틀을 유지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타임은 “미국과 중국 모두 상호 의존보다 자립을 중시하는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런 ‘경쟁적 공존’ 구도가 합의의 지속 가능성을 떨어뜨린다”고 분석했다.
타임은 “예측 가능성과 확실성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다”며 “이번 회담이 일시적인 긴장 완화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3일 만에 반락...전 거래일 대비 이익 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KRX금현물] 3거래일 연속 하락...3.35% 급락 1g당 18만2830원 마...](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816235909718edf69f862c1216361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