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밑 조정 끝 전자제품 업계 한숨돌려
반도체 관세 폭풍 전야…긴장감 고조
美 행정부, 14일 구체 방침 발표 예고
반도체 관세 폭풍 전야…긴장감 고조
美 행정부, 14일 구체 방침 발표 예고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12일(현지시각) 스마트폰, 노트북 등 주요 전자기기를 상호 관세 대상에서 일시적으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해당 제품들은 중국산 제품에 부과되던 높은 관세에서 당분간 벗어나게 됐다. 그러나 메모리 칩과 같은 반도체 품목은 이번 면제에서 제외되거나, 별도의 고율 관세가 논의되는 상황이다.
업계는 이번 발표로 당장의 가격 상승 우려를 피할 수 있게 됐다며 안도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이번 면제가 영구적인 조치가 아니라는 점에서 긴장을 늦출 수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ABC뉴스 인터뷰에서 "스마트폰과 노트북은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반도체는 별도의 심사를 통해 고율 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면제는 단지 임시 조치일 뿐이며, 반도체 산업에 대한 새로운 관세 정책이 곧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샤이엔 맥도날드 엔가젯 기자는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는 표면적인 조치로 보이며, 실질적으로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려는 신호로 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발표된 것으로, 기존 20% 관세를 포함해 총 145%에 달하는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제품에 대해 90일간의 관세 유예를 선언했으나, 중국산 반도체와 같은 핵심 품목에는 여전히 10% 수준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는 국가 안보와 직결된 문제"라며, 향후 추가 조치를 시사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미국은 반도체와 같은 핵심 기술 생산을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며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 주요 산업에 대해 별도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반도체는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긴급 조치가 가능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대상에 올라 있어 고율 관세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 등 미국 내 생산기지를 확대해 온 기업들에는 이번 관세 유예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제조 장비가 면제 대상에 포함된 점은 업계에 일정 부분 호재로 작용한다. 그러나 메모리 반도체와 같은 핵심 품목은 여전히 불확실성에 놓여 있어, 완제품 가격의 변동성과 수출 시장의 불안정성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