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T, 아이폰17에 1인 69만원 혜택 ‘이용자 이탈 막아라’

글로벌이코노믹

KT, 아이폰17에 1인 69만원 혜택 ‘이용자 이탈 막아라’

단말기보조금 50만원부터 100만원까지 상이해
보안강화 등 지출 많은데 단말기보조금 상향 부담


단통법이 폐지되면서 이동통신사별로 단말기 보조금을 상이하게 지급할 수 있다. KT가 해킹사태와 아이폰17에 따른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단말기 보조금을 과도하게 지급하고 있다는 얘기가 업계 내에서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단통법이 폐지되면서 이동통신사별로 단말기 보조금을 상이하게 지급할 수 있다. KT가 해킹사태와 아이폰17에 따른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단말기 보조금을 과도하게 지급하고 있다는 얘기가 업계 내에서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KT가 해킹 사태에 따른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스마트폰 단말기 보조금을 높게 책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KT가 50만원부터 100만원까지 단말기 보조금을 지급했다는 얘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 폐지되면서 통신사들은 고객이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입하고자 할 때 단말기보조금을 과하게 지급할 수 있다. 치열한 마케팅전으로 각 통신사별로 가입자 빼앗기를 할 수 있게 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신형 스마트폰 아이폰17이 출시되면서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책정한 단말기보조금은 45만원이었다. 이동통신 3사 모두 각자 해킹사태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과도한 마케팅전을 전개하지 않기 위해 단말기보조금을 낮게 책정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해킹 사태를 직격으로 맞은 KT의 경우 아이폰17 모델이 출시되자 이탈하는 이용자들이 발생했다. 최근 집계 결과 1328명이 이탈했고, 줄어든 만큼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이용자는 늘었다.
신형 아이폰의 출시는 이동통신 이용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행사다. 단말기가 고가다보니 보조금과 요금 할인 혜택을 많이 주는 통신사로 번호이동 하는 현상을 쉽게 접할 수 있다. 특히 지난 7월 22일 단통법이 폐지되면서 각 이동통신사마다 단말기 보조금을 높게 책정할 수 있는 상황이 마련됐다. 단통법 폐지 이후에도 이용자들의 번호 이동은 전년과 비슷했다. 하지만 최근 KT가 외부 해킹그룹의 해킹 의혹이 일었고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이용한 무단 소액결제 사태가 발생해 브랜드 인지도가 급격히 하락했다. 이 상황과 맞물려 아이폰17이 출시되면서 KT는 가입자 대량 이탈 사태를 고려해 단말기 보조금을 높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난 4월 해킹 사태로 SK텔레콤에서 타 이동통신사로 번호이동한 이용자는 약 80만명이다.

KT가 제시한 아이폰17 모델에 대한 단말기 보조금. 사진=KT이미지 확대보기
KT가 제시한 아이폰17 모델에 대한 단말기 보조금. 사진=KT


최근 알려진 아이폰17 단말기 보조금 지급이 상이하다라는 것에 대해 KT관계자는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KT가 제시한 단말기보조금은 15만원이며 2년간 요금 할인도 54만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즉 아이폰17 때문에 이탈하는 고객을 막기 위해 1인당 69만원의 혜택을 주는 것이다.

앞으로 KT는 해킹 여파로 이용자들의 가입 해제 시 위약금 면제 등의 정부 권고안 수용을 받아들여야 할 상황이다. 무엇보다 보안 강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가 수반돼야 한다. 수익성이 하락하고 지출만 많아져 재무구조가 불안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상황에 이탈 고객을 막고 신규 이용자 유치를 위해 단말기 보조금 지급과 요금 할인 혜택 등으로 지출은 더욱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정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unghochoi55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