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IFA서 나란히 AI 가전 내세워
AI 가전 연결로 '집' 재정의 의도
프리미엄 시장 공략…보안강화 과제
AI 가전 연결로 '집' 재정의 의도
프리미엄 시장 공략…보안강화 과제

28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다음 달 5일부터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AI를 내세울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내세운 주제는 ‘AI 홈, 미래 일상을 현실로’다. 여기서 삼성전자는 마이크로 적·녹·청(RGB) TV와 비스포크 AI 가전을 포함해 스마트싱스 기반 AI 혁신 등을 선보인다.
LG전자는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를 내세우고 AI 홈 허브 역할을 하는 ‘LG 씽큐온’을 중심으로 집안 AI 가전과 외부 플랫폼들이 연결된 ‘AI홈 솔루션’을 전시한다. LG전자는 지난해 IFA에서 LG AI홈 청사진을 첫 공개하기도 했다.
최승범 삼성전자 디바이스플랫폼센터장은 최근 미 경제잡지 포춘지 기고문을 통해 “AI 홈은 단순히 기술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집의 개념을 재정의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 신뢰와 범사회적 이익을 구축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AI를 가전에 접목하는 모습을 내세워 궁극적으로 프리미엄 가전 시장에서만큼은 중국을 앞서나가겠다는 의지도 있다. 특히 보급형 시장에서는 가격 경쟁력만으로 중국 제품과 승부를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부가가치가 높은 프리미엄 시장을 겨냥해 수익성과 브랜드 입지 모두 잡겠다는 것이다.
양사의 AI 홈 비전이 집안에 안착되기 위한 요건으로는 보안성 강화가 꼽힌다. 집안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 관한 정보가 데이터 형태로 보관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가전·모바일 기기 간 연결 매개인 ‘스마트싱스’에 보안 솔루션 ‘녹스’를 적용하고 있다. LG전자도 자체 소프트웨어 보안 프로세스 ‘LG-SDL’를 기반으로 IoT 가전 보안성을 강화해왔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