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중에는 미국의 ‘안티워크(Anti-Work)’나 중국의 ‘누워있기(lay flat)’처럼 일하는 것보다는 게을러지고 싶어 하는 사람이 유행처럼 퇴사한다고 한다. 물론 이들에게도 퇴사 이유가 있다.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로 상사와의 갈등이 제일 큰 이유다. 다음으로 워라벨, 자기실현, 미래비전 등을 말하기도 하고, 아무리 노력해도 베이비부머 세대처럼 집을 살 수 없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일 안 하고 몇 달 놀았더니 미칠 것 같다고 말하는 사람을 보았을 것이다. 이런 경험이 있는 사람은 직장을 다시 얻게 되면 열심히 일한다. 어느 중소기업 사장은 한 달간 유급휴가를 주어 이런 경험을 하게 하고 싶다고도 말할 정도다.
이런 현실을 바꿀 수 있을까? 불가능한 일이다. 이런 현실을 모두 인정한 다음에 해결책을 찾아야 그것이 진짜 해결책이 된다. “이 회사에 입사해서 5년만 근무하라!” “5년 후에는 더 좋은 회사로 갈 것을 추천한다”라고 하면서 회사를 운영하는 사장도 있다. 5년 이내에 더 좋은 회사에 근무할 수 있도록 역량을 키우라는 확실한 목적을 제시한 것이다.
놀랍게도 이 회사의 이직률은 0%에 가깝다. 20명 중, 한 명이 자기 사업을 하겠다고 나갔을 뿐이다. 물론 이 사장은 사람을 세밀히 관찰한 후에 그 사람이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일을 맡긴다. 그렇게 하니까 “우리 회사 사람들은 모두 S급입니다”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것이 원인이기도 하다.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최상의 직장은 어떤 직장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연봉과 관계없이 은퇴 후 또는 직장을 그만둔 후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연결점을 찾으면 그곳이 최상의 직장이 된다’는 것이다.
이 말은 직장을 다니다가 중도 퇴사하여 성공적으로 자기 사업을 이어가고 있는 사람들의 공통어이다. 회사에 다니면서 ‘기업가 정신’으로 일하면서 회사에서 인정받음은 물론 자기 사업을 시작하면서부터 고객들로부터 호평받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했다면 성공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우리 회사는 정년퇴직이 없습니다. 건강이 허락하면 나이에 상관없이 근무할 수 있습니다”라고 선언한 중소기업이 있다. 지금처럼 미래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런 말을 하긴 쉽지 않다. 아무나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다. 그렇지 않은가? 이 말이 사실이라면 은퇴한 후 일없이 지내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근무하고 싶은 회사가 된다.
이런 행운을 아무나 얻기는 힘들다. 아니,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그런 경우에는 자신이 하는 일 속에서 직장을 그만둔 후에 할 수 있는 연결점을 찾으면 된다. 어렵지 않다. 찾으려고 노력하면 반드시 찾을 수 있다. 단지 어렵다는 생각이 앞을 가로막고 있을 뿐이다.
류호택 (사)한국코칭연구원 원장('지속가능한 천년기업의 비밀'의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