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농어촌공사, 농업생산기반시설 안전관리 강화 방안 모색…기후 재해 대비

글로벌이코노믹

농어촌공사, 농업생산기반시설 안전관리 강화 방안 모색…기후 재해 대비

기후변화 대응 ‘2023 안전진단’ 포럼…각계 전문가 등 250여명 참석


충남 예산에서 지난 22일부터 열린 ‘2023년 농업생산기반시설 안전진단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는 모습. 사진=한국농어촌공사 이미지 확대보기
충남 예산에서 지난 22일부터 열린 ‘2023년 농업생산기반시설 안전진단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는 모습. 사진=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어촌공사가 기후 재해에 대비해 초기 대응체계 구축 방안과 농업생산기반시설 안전관리 강화 방안을 모색했다.

농어촌공사는 농림축산식품부와 ‘2023년 농업생산기반시설 안전진단 포럼’을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22일부터 이틀간 충남 예산에서 행사에는 농식품부·지자체 업무 담당자를 비롯해 학계 전문가, 진단전문업체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

공사 안전진단본부의 주요 성과발표와 농식품부의 정책발표, 전문가 주제발표, 토론회가 이어젔으며, 공사의 안전관리 경혐과 기술을 공유했다.

농식품부 강경만 과장(농업시설안전과)과 최영기 서기관(농업시설안전과)이 ‘농업생산기반시설 안전관리 정책 방향’, ‘농업생산기반시설 안전관리체계 강화 방안’을 주제로 각각 정책발표를 했다.

이승수 충북대 교수의 ‘저수지 정기안전 점검 실태조사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안전 관리체계 강화, 안전진단 발전 방향’을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손재권 전북대 교수를 비롯한 패널들은 소규모 시설이 많은 지자체 담당자들이 참여해 노후 시설물의 안전관리 체계의 실질적인 문제 파악과 해결을 위한 제도개선에 힘써줄 것을 주문했다.

무엇보다 정부와 관련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과 역할분담이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예산·인력의 확충, 점검·진단의 확대, 성능 중심의 안전진단체계 구축 등의 의견을 개진했다.

이병호 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재난재해 예방 대책은 물론, 재해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초기 대응체계 구축이 중요하다”라며 “정밀안전진단 기술을 고도화하고 지자체를 비롯한 관계기관들의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강조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