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2020~2022년 주요 증권사 연령대별 신용융자 잔고현황’ 자료 공개 … 고령층, 주식투자에 신용 융자시 신중해야
올해 상반기 50대 이상의 주식 투자자 '빚투(빚내서 투자)' 규모만 20대 투자자의 25.8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뉴시스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 소속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20~2022년 주요 증권사 연령대별 신용융자 잔고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50대 이상 투자자의 신용융자 잔고 규모는 8조2697억원이었다. 이는 30대 미만 투자자(3210억원)의 25.76배 규모다.
50세 이상 장년층과 30세 미만 청년층의 신용융자 잔고 금액 차도 해마다 간극이 벌어졌다.
신용융자란 주식 매수시 필요한 투자자금을 증권사가 대출해주는 서비스다. 코스피가 가파르게 상승하던 2020년 말 기준 신용융자 잔고는 30세 미만의 경우 4803억원이었으나 50세 이상은 7조9488억원으로 16.5배의 차이가 났다. 지수가 정점을 찍고 하락하던 지난해 말엔 30세 미만이 5096억원, 50세 이상이 9조9299억원으로 19.5배 차이가 났다. 이후 본격적인 하락세로 접어든 올해 상반기 30세 미만은 3210억원, 50세 이상은 8조2697억원으로 25.8배로 격차가 벌어졌다.
주가지수 하락에 따라 30세 미만의 신용융자 규모는 가파르게 줄었다. 하지만 60세 이상의 신용융자 규모는 줄지 않았다. 지난 2020년 말 대비 올해 상반기 다른 연령층은 신용융자 규모가 축소된 반면 60세 이상만 12.9% 늘었다. 신용융자금은 최소 담보 유지비율을 유지하지 못하면 반대 매매를 통해 담보 주식을 임의 처분 한다. 60세 이상이 노후 자금을 날릴 여지가 많다는 의미다.
윤영덕 의원은 "같은 빚 투라 해도 20대 청년보다 60세 이상 고령층이 받을 충격이 더 크다"며 "고령층이 주식투자에 신용융자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무엇보다 신중한 판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