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EU, 트럼프 ‘10% 보편관세’ 수용 검토…철강·자동차엔 예외 요구

글로벌이코노믹

EU, 트럼프 ‘10% 보편관세’ 수용 검토…철강·자동차엔 예외 요구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EU 집행위원회 본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EU 집행위원회 본부. 사진=로이터

유럽연합(EU)이 미국이 추진하는 10% 보편관세 부과 방안을 일정 부분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의약품과 반도체, 항공기, 주류 등 전략 품목에 대해서는 낮은 세율 적용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이하 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EU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보편 관세 개념을 전제로 논의에 나서되 세부 산업군에 대한 차별화된 세율 적용과 쿼터 도입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EU는 특히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25% 관세와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50% 관세 완화를 위한 예외 조항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편관세 구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 이후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무역 정책 방향의 핵심 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주요 보수 매체들과 가진 인터뷰에서 “모든 나라에 10% 통일관세를 적용해 미국 산업을 보호하겠다”고 말한 바 있으며 이 같은 구상이 동맹국을 포함한 전방위 압박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블룸버그는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EU는 무역 전면전으로 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보편 관세 자체는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며 “그러나 이를 전면 적용할 경우 전략 산업이 입을 피해가 커지는 만큼 품목별 유연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EU는 또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 관세에 대한 일괄 부과 방침을 고수할 경우 독일·프랑스 등 유럽 제조업 강국의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판단 하에 자동차 관련 관세를 쿼터 방식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EU의 이같은 절충안 제시는 미국과의 무역 갈등을 피하는 동시에, 내년까지 지속될 수 있는 트럼프 행정부와의 긴 협상 국면을 대비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다만 일부 EU 회원국에서는 “관세 수용은 전례 없는 선례를 만들 수 있다”며 반발도 존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은 “EU와 미국 양측 모두 공식적으로는 언급을 피하고 있다”고 전하면서도 EU 내부 논의가 실제 협상 트랙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