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현지시각)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에 따르면 S&P 글로벌은 최근 내놓은 보고서에서 전 세계 9000개 상장 기업이 올해 예상보다 최소 1조2000억 달러의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된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이는 인건비 상승, 에너지 비용,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의 요인이 더해진 결과로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급격히 축소됐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S&P는 올해 전 세계 기업들의 총 지출을 53조 달러로 추산하면서 연초 발표했던 예측치를 대폭 수정했다. 이 분석은 1만5000여명의 애널리스트가 추적하는 약 9000개 상장기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뤄졌으며 이들 기업은 글로벌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85%를 차지한다.
◇ 중하위층에 더 큰 타격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며 주로 고소득층 소비에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영국 경제분석기관 TS 롬바드의 다리오 퍼킨스는 “부유층은 파티를 즐기고 있지만 서민층은 경기침체를 겪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나틱시스 미국법인의 크리스토퍼 호지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부과 품목은 가구, 의류, 전자제품, 가전 등으로 중산층과 젊은 세대가 주로 소비하는 항목에 집중돼 있다”며 “결국 저소득층이 소득 대비 더 큰 부담을 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 백악관 “일시적 현상” 주장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는 포춘과 인터뷰에서 “미국 소비자가 일시적으로 전환기에 놓여 있지만 궁극적으로 관세 부담은 해외 수출업체가 지게 될 것”이라며 “기업들은 이미 생산기지를 미국 내로 옮기거나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S&P는 이번 추산이 “보수적인 하한선”이라며 애널리스트의 추적 범위 밖에 있는 중소기업까지 포함하면 손실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