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한국 산업구조, 공산품 비중 줄고 서비스 확대"

공유
0

한은 "한국 산업구조, 공산품 비중 줄고 서비스 확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우리나라 산업구조에서 공산품 비중이 축소되고 서비스 비중이 확대된 것을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0년 기준년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에 따르면, 산출액 기준 서비스 비중은 49.3%로 직전 조사 때인 2015년(44.9%)보다 4.4%포인트(p) 높아졌다.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한국은행

반면 같은 기간 공산품 비중은 44.5%에서 40.2%로 4.3%p 낮아졌다.

부가가치 기준으로도 서비스 비중이 59.9%에서 63.8%로 3.9%p 늘어난 반면에 공산품 비중은 29.5%에서 26.0%로 3.5%p 줄었다.

정영호 한은 경제통계국 투입산출팀 팀장은 "코로나19 시기 의료 및 비대면 관련 서비스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며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충격으로 세계 경제가 위축되고 상품 교육이 줄면서 대외거래 비중도 축소됐다.

한국 경제의 재화와 서비스 총공급(총수요)은 2020년 5221조2000억원으로 2015년(4457조6000억원)보다 17.1% 증가했는데 이 중 수출(717조6000억원)과 수입(663조9000억원)을 합한 대외거래는 1381조5000억원으로 26.5%에 그쳤다. 이는 2015년 30.1% 보다 3.6%p 감소한 수치다.
최종 수요에서는 소비(46.6→49.4%)와 투자(21.6→24.0%) 비중이 나란히 확대됐다. 다만 수출(31.7→26.6%)은 큰 폭으로 축소됐다.

소비의 경우 민간소비(35.6→36.4%)와 정부소비(11.1→13.0%)의 비중 모두 커졌다.

총산출액 대비 수출을 나타내는 수출률은 15.7%로 2015년(18.7%)보다 3.0%p 내렸다. 총산출액 중 중간재 수입액을 뜻하는 수입의존도도 10.7%로 1.8%p 줄었다.

국산품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했을 때 유발되는 생산의 크기를 나타내는 생산유발계수는 2020년 1.804로 2015s년(1.813)보다 소폭 하락했다.

생산유발계수 하락은 중간재 국산화율이 높아졌으나, 중간투입률 자체가 낮아진 영향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생산유발계수는 중국(2.420)에 비해서는 낮지만 독일(1.706), 일본(1.699), 미국(1.663) 등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