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삼정기업 관련 충당금 400억 환입 기대
금양 4050억 유증 성공하면 충당금 환입 가능
부산·경남은행, 은행권 3대 과징금 리스크에서 자유로워
금양 4050억 유증 성공하면 충당금 환입 가능
부산·경남은행, 은행권 3대 과징금 리스크에서 자유로워

BNK금융그룹이 상반기 삼정기업, 금양 등 지역기업 부실 리스크를 해소하고 재도약에 나선다.
삼정기업은 2분기 대손충당금 200억원 환입에 이어 3분기에도 약 400억원 이상이 해소될 전망이다. 부산의 2차전지 제조업체 금양 역시 4050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성공하면 이와 관련된 충당금 환입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더해 5대 금융지주의 수조원대 출혈이 안길 것으로 예상되는 은행권 LTV(담보인정비율) 담합, 국고채 입찰 담합, 홍콩 ELS(주가연계증권) 사태 등 3대 과장금 리스크에서 자유롭다는 점도 BNK금융의 하반기 성적표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증권가 컨센서스(평균 추정치)에 따르면 BNK금융은 올해 8016억원의 당기순이익(연결기준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3개월 전에는 순이익 컨센서스가 7654억원에 그쳤지만 이달 들어 8000억원이 넘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시장의 눈높이가 상향된 것이다.
BNK금융은 지난 2월 2024년 그룹 연결 순이익이 8027억원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후 삼정기업·삼정이앤씨·정상개발 및 반얀트리 시행사 루펜티스에 대한 대출 관련 충당금 1061억원을 2024년도 재무제표에 반영하기로 결정하면서 순이익이 7285억원으로 축소됐다. BNK금융의 연간 최대 순이익은 지난 2022년에 기록한 7850억원으로 사상 최대 순이익 기록 경신이 연기된 셈이다.
시장 분위기가 달라진 것은 대손비용 우려가 점차 완화되면서 BNK금융이 올해 최대 실적을 낼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회생 절차가 진행 중인 삼정기업 계열사 정상북한산리조트가 북한산 소재 프리미엄 리조트인 파라스파라 서울을 한화호텔앤리조트에 약 4200억원에 매각하면서 이에 따른 충당금 환입이 예상된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BNK금융은 삼정기업 관련 상각채권 중 약 400억원 이상을 3분기 중 추가 환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삼정기업 충당금 환입으로 BNK금융의 3분기 대손비용은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하회할 가능성이 높고, 순익도 컨센서스를 상회할 공산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금양이 추진하고 있는 405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가 성공적으로 끝난다면 충당금 환입 규모가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금양의 유상증자 납기일은 오는 17일로 납기일이 두 차례 연기되기는 했지만 유증에 성공한다면 금양은 올해 말까지 공장을 완공하고 내년 1월부터 원통형 배터리를 본격 생산하면서 경영 정상화 가능성을 키울 것으로 보인다. BNK금융은 올 1분기 금양 관련 약 280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한 바 있다.
실제로 지역기업 부실화 리스크가 일부 해소되면서 투자 심리도 완화됐다. 코스피 시장에서 기관투자자는 BNK금융 주식을 8월 18일부터 전날까지 13거래일 연속 순매수했다. 최근 한 달 간 순매수 규모만 440억원에 이른다.
부산·경남은행 등 지방은행을 자회사로 두면서 은행권 3대 과징금 리스크에서 자유롭다는 점도 부각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들어 은행권에 대한 압박이 커지면서 LTV 담합, 국고채 입찰 담합, 홍콩 ELS 사태 등 막대한 규모의 과징금이 은행권에 부과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해당 사태에 대해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지역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건전성 지표도 연말로 갈수록 점차 안정을 찾을 것이란 분석이다.
김현수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2분기 연체율이 삼정기업 부실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0.17%포인트 상승했지만 해당 요인을 제외하면 상승세는 제한적인 상황"이라며 "포트폴리오 조정 기조가 지속된다면 연간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1.5% 내외로 안정화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과징금과 출연 부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지방은행의 투자 매력은 상대적으로 부각될 수 있다"면서 "시중은행지주 대비 불확실성이 낮고, 정책 부담도 제한적이어서 향후 차별적인 투자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