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발간한 '2026년 연간전망' 보고서에서 "2026년 달러 약세 재개, 원화 가치도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구조적 상방 압력은 2027년 이후에 해소 예상한다"고 밝혔다.
유 연구원 "최근 원화 약세의 핵심에는 해외투자가 있다"고 짚었다.
그는 "이미 급등한 시장금리가 크게 내려오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어 금리차에 의한 원화 절하 압력은 내년에 완화될 수 있다"면서도 "올해 코스피가 미국 증시 대비 압도적인 성적을 보여줬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국내 주식을 팔고 미국 주식을 열심히 매입했다"고 설명했다.
위재현 NH선물 연구원도 '2026년 외화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제한인 달러화 약세를 예상하면서도 원·달러 환율의 추세적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위 연구원 역시 경상수지 흑자에도 미국에 투자를 늘려야 하는 기업들이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고 있는 상황과 내국인의 해외투자 확대가 환율 상승을 주도했다고 짚었다.
그는 경상수지로 벌어들인 달러는 유입되지 않고, 금융계정을 통한 달러 유출은 지속되며 구조적인 수급 불균형이 형성됐다고 지적했다.
올해 수출은 반도체와 선박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일평균 수출액은 10월 기준 3억 달러에 근접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2020년 이후 경상수지 흑자 규모 대비 원화 가치는 유독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경상수지로 벌어들인 달러가 국내로 유입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그는 "코로나 이후 기간동안 환율 상승은 대부분 주식시장의 달러 순유출에 의해 주도됐다"면서 "올해만 하더라도 외국인의 누적 코스피 순매도 금액은 환율 1400원 적용시 15억2000만달러 규모라면서 내국인의 해외 투자금액은 261억6000만달러로 총 276억8000만 달러가 유출됐다"고 설명했다.
위 연구원은 "내년도 달러화는 완만한 약세가 예상되며, 정상적인 시나리오 하에서는 해외투자가 주도하는 환율 상승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내년 환율 범위를 1410~1540원으로 제시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



















![[2026 대전망] 트럼프 시대, 韓 외교 안보의 ‘실용과 원칙’ 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110061007385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