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눔프족' ' 뇌섹남'을 아시나요?

공유
1

'눔프족' ' 뇌섹남'을 아시나요?

국립국어원, 2014년 신어 발표

[글로벌이코노믹 이재경 기자] 눔프족, 금사빠녀, 뇌섹남, 모루밍족, 앵그리맘이란 말 들어보셨나요? 외래어냐고요. 아닙니다. 우리 사회에서 자주 쓰이고 있는 말들입니다.

국립국어원은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일간지 등 온·오프라인 대중 매체 139개에 등장한 새 낱말(신어) 334개를 조사하여 2014년 신어를 발표했다.
2014년 신어 자료집에는 ‘뇌섹남’(‘뇌가 섹시한 남자’를 줄여 이르는 말. 주관이 뚜렷하고 언변이 뛰어나며 유머가 있고 지적인 매력이 있는 남자), ‘눔프족’(복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복지 비용을 위한 증세에는 반대하는 사람), ‘일자리 절벽’(구직자가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하는 신어들이 수록됐다.

이번 신어에는 특정 행동 양상을 보이는 사람들의 무리를 가리키는 어휘가 27%(92개)나 된다. 실속 있는 소비 경향과 관련된 ‘모루밍족’(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자세히 살펴본 뒤, 모바일 쇼핑을 하는 사람), 숨 가쁜 일상이 반영된 ‘출퇴근 쇼핑족’(출퇴근을 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따위로 쇼핑을 하는 사람) 등과 사회·경제적 문제를 반영한 ‘오포 세대’(생활고로 인해 연애, 결혼, 출산, 인간관계, 주택 구입을 포기한 세대), ‘앵그리맘’(자녀의 교육과 관련한 사회 문제에 분노하여 적극적으로 그 해결에 참여하는 여성) 등이 그 예이다.

그리고 ‘금사빠녀’(‘금방 사랑에 빠지는 여자’를 줄여 이르는 말), ‘꼬돌남’(‘꼬시고 싶은 돌아온 싱글 남자’를 줄여 이르는 말) 등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남녀의 특징을 반영한 어휘도 있다.

특정 부류를 가리키는 접사로는 ‘-족(族)’, ‘-남(男)’, ‘-녀(女)’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앵그리맘’과 같은 외래어를 기반으로 만든 신어의 비율도 64%로 반 이상을 차지했다.

주제별로는 사회·경제(24%, 80개), 통신(14%, 47개) 어휘가 많이 나타났다.

지속된 경기 불황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한 ‘임금 절벽’(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는 데 반하여 임금은 오르지 않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거 절벽’(급격하게 오른 주거 비용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디 공포’(통화량의 축소에 의해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에 대하여 느끼는 공포) 등이 그 예이다. 특히 우리 사회를 ‘일자리 절벽’, ‘재벌 절벽’, ‘창업 절벽’ 등으로 설명한 <절벽사회>(고재학 저)에서 유래한 ‘절벽’계 어휘들이 다수 등장했다.

스마트폰과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먹스타그램’(자신이 먹은 음식 사진을 누리 소통망 서비스에 올리는 일), ‘인생짤’(그 사람의 인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할 정도로 잘 나온 사진), ‘광삭’(빛의 속도와 같이 매우 빠르게 삭제함) 등 통신 관련 어휘들도 있었다.

이 밖에 ‘맛저’(‘맛있는 저녁’을 줄여 이르는 말), ‘부먹파’(탕수육을 먹을 때에 튀긴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소스에 찍어 먹는 것에 반하여, 튀긴 고기 위에 소스를 부어 먹는 사람의 무리) 등 음식 관련 어휘, ‘돼지맘’(은어로, 교육열이 매우 높고 사교육에 대한 정보에 정통하여 다른 어머니들을 이끄는 어머니를 이르는 말), ‘자동봉진’(‘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을 줄여 이르는 말) 등 교육 관련 어휘들도 나타났다.

감정을 표현하는 신어도 10개가 확인되었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고급지다’(고급스러운 멋이 있다), ‘심멎’(심장이 멎을 만큼 멋지거나 아름답다는 말), ‘핵꿀잼’(매우 많이 재미있음) 등의 긍정적 어휘가 8개인 반면에 ‘노관심’(관심이 없음), ‘극혐오하다’(아주 싫어하고 미워하다)와 같은 부정적 어휘는 2개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최근 불경기와 취업난에 비추어 보면 의외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은 신어를 이후 지속적인 사용 양상을 관찰하여 사전의 등재 여부 및 표준어 여부를 결정한다.
이재경 기자 bubmu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