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과목 14·15·22번, 확통 30번, 미적 28번, 기하 30번
“함수부등식 해석하는 22번은 대학과정에 해당”
“함수부등식 해석하는 22번은 대학과정에 해당”

더불어민주당 강민정, 강득구 의원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은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수능 수학 46개 문항 중 6개 문항(13.04%)이 킬러문항으로 출제됐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공통과목 14·15·22번, 선택과목 중 확률과 통계 30번, 미적분 28번, 기하 30번 등 총 6문항을 킬러문항으로 봤다.
사걱세는 먼저 14번 문항에 대해 “그래프를 추론해 함수 극한을 푸는 이 문제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벗어났고 사교육 교재로 익힐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답률 1%대를 기록한 22번 문항은 “함수방정식에 준하는 함수부등식 해석능력이 필요한데, 이는 대학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라며 “특정 사교육 학원 교재에 실려있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확률과 통계와 기하 각 30번 문항은 교육과정 성취기준 범위와 수준을 벗어났고, 미적분 28번은 교육과정 교수·학습·평가에 대한 방법 및 유의사항을 준수하지 않았다는 의견이다.
앞서 교육당국은 이번 수능에 출제된 문항 전반에 대해 “문제없음”으로 총평했다.
그러나 사걱세는 “출제당국은 ‘함정에 빠지기 쉬운 문항’, ‘과도한 계산을 요구하는 문항’ 등 특정 문항을 배제한 정도로만 보인다”고 지적했다.
공교육만으로 대비할 수 없는 문항이 출제되면 사교육 문제는 앞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이 사걱세 주장이다.
그러면서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공정수능평가자문위원회, 출제점검위원회 기능을 다시 확인하고 검토단계를 강화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2024학년도 수능 성적표는 오는 8일 수험생에게 배부된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수습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