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IMF, 韓 성장률 1.0→0.8% 하향…1분기 역성장 여파

글로벌이코노믹

IMF, 韓 성장률 1.0→0.8% 하향…1분기 역성장 여파

7월 세계경제전망 발표…3개월 만에 0.2%P 내려
美·中·日 등 주요국 소폭 상향…세계 0.2%P↑
韓·러시아·네델란드 3개국 하향 조정
내년 전망치는 1.4→1.8%로 상향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8%로 낮췄다. 이는 올 4월 제시한 1.0%에서 0.2%포인트(P) 내려간 것으로 1분기 예상 밖의 역성장 충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IMF는 29일 '7월 세계경제전망(WEO)'를 통해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0%에서 0.8%로 0.2%P 낮춰잡았다.

IMF는 지난해 10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2.2%로 제시한 이후, 올해 1월 2.0%, 4월 1.0%로 지속적으로 낮춰왔다. IMF가 한국 경제가 0%대 성장하는 데 그치리라고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IMF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또 낮춘 것은 1분기 역성장 충격을 반영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한국의 1분기 성장률은 -0.2%(전기대비)로, 한국은행 2월 전망치(0.2%)보다 무려 0.4%P 낮았다. 2분기 성장률이 0.6%로 반등했지만 미국과 관세 협상 등 하반기에 남은 불확실성이 많아 올해 성장률이 0%대를 벗어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라훌 아난드 IMF 한국 미션단장은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은 국내 정치 및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 등으로 예상보다 부진했던 상반기 실적에 기인한다”고 기재부에 제출한 별도의 설명 자료를 통해 설명했다.

세계 경제 성장률을 포함해 대부분 주요국의 성장률을 이전 전망 보다 높였다는 점에서 이번 IMF 전망은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직전 2.8%에서 0.2%P 올린 3.0%로 전망했다.

IMF가 제시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0.8%는 선진국 평균(1.5%)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미국(1.9%), 네덜란드(1.2%), 영국(1.2%), 캐나다(1.6%)보다도 한참 낮다.

주요국 20개국 중 미국(0.1%P↑), 중국(0.8%P↑), 유로존(0.2%P↑), 일본(0.1%P↑) 등 대부분의 국가가 4월 전망보다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됐다. 기존 4월보다 성장률이 내려간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네덜란드(0.2%P↓)와 러시아(0.6%P ↓) 3개국 뿐이다.

다만 IMF는 한국의 내년 성장률을 4월 전망(1.4%)보다 0.4%P 오른 1.8%로 제시했다. IMF의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한은·KDI·ADB(각 1.6%) 등 주요 국내외 기관보다 높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