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시의회에 따르면, 이날 박 의원은 “평소 5분이면 충분한 보라동~지곡동 구간이 명절이나 주말에는 2시간 넘게 걸리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민속촌 방문 차량으로 인해 주민들은 사실상 고립된 채 생활하고 있다. 이제는 행정이 누구의 편에 서 있는지 스스로 물어야 할 때”라고 비판했다.
그는 교통 혼잡의 근본 원인으로 하천 점용 부지에 조성된 민속촌 주차장을 지적하며, “해당 부지는 1989년 최초 허가 이후 20년간 무상 사용됐고, 이후에도 연간 약 3천만 원의 점용료만 내며 사실상 민간 영업용 주차장으로 운영돼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회의 노력으로 하천 점용 계약에 ‘공익사업 시 계약 해지 가능’ 조항이 추가됐지만, 계약 구조 변경만으로는 근본 해결이 어렵다”며 “교통 분산과 주민 피해 보상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박 의원은 “한국민속촌은 용인의 대표 문화 자산이지만, 주민의 희생 위에 민간의 이익이 세워져서는 안 된다”며 “시는 민간사업자의 무책임한 운영을 더 이상 방관하지 말고 행정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지은 이형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uk151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