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이탈 후 유럽원자력공동체서 탈퇴하면, 원자력 계획 지연 사태로 이어져

영국은 송전망을 통해 프랑스와 네덜란드, 아일랜드에서 전력의 약 5~6%를 수입하고 있으며, 가스 공급은 약 40%를 노르웨이와 유럽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받고 있다.
보고서는 "EU 탈퇴 후 유럽 역내 에너지 시장 밖에서 진행되는 영국의 에너지 거래는 현재보다 효율적이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는 EU 이탈로 영국은 가혹한 날씨와 뜻밖의 발전 정지 등의 상황으로 에너지 공급 부족 현상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로 인해 영국 내 에너지 가격은 상승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는 뜻이다.
보고서는 또 "영국 정부는 유럽 역내 에너지 시장에서의 이탈이 미치는 영향을 완벽하게 평가하는 동시에, 심각한 공급 부족에 대한 대처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보고서는, 영국 정부에게 EU 탈퇴 절차의 이행 기간과는 별도로 유럽원자력공동체(EURATOM)와 함께 이탈 이후 상황에 대비해 특별한 전환기를 마련해 둘 가능성을 검토하도록 제안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먼저 영국이 EU 이탈에 따라 EURATOM에서도 탈퇴하게 되면, 새로운 원자력 계획의 지연 사태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연구 및 국제 협력 합의가 복잡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영국의 원자력 발전에 의한 전력 공급은 전체의 약 20%를 차지하기 때문에,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