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업 확대 강력한 현지 파트너가 버팀목

현재 해외 자동차 메이커는 중국 업체와 현지 합작 사업에 50%까지만 출자하는 것으로 지분 보유량이 제한돼 있다. 발개위는 이를 상용차 메이커는 2020년에, 승용차는 2022년, 신에너지 자동차는 2018년 내에 지분 규제를 철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의 획기적인 배려에 대해 미국 테슬라 등 신에너지 자동차 메이커가 단기적으로 가장 많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애널리스트들은 전망했다. 이를 증명하듯 테슬라는 최근 공장을 확장하기 위해 상하이 지역을 물색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이 같은 배려에 대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마킷 경영진은 그리 달갑지 않은 반응을 보였다. 현재의 합작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기회보다는 위험 요인이 더 높을 것"이라며 "단독 투자보다 조인트벤처(JV)가 훨씬 유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럽과 미국 자동차 메이커는 중국이 내놓은 정책을 조용히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발 빠른 일본 메이커들만 의견을 내놓았다. 닛산자동차는 "구체적인 정책을 보고난 후 계획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혼다는 "중국 사업의 확대는 강력한 현지 파트너가 버팀목이 됐다"며 "현 시점에서 자본 관계를 변경할 계획은 없다"고 일축했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