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유럽, 전기차 배터리 제조 한국 의존 가속화…중국 기술 불신 커져

글로벌이코노믹

유럽, 전기차 배터리 제조 한국 의존 가속화…중국 기술 불신 커져

노스볼트·넥스페리아 사태로 중국 기술 불신 커져… 폭스바겐 사군토 공장에 韓 기업 참여
中, 글로벌 배터리 생산 80% 장악… 韓, 15% 점유하며 유럽의 신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
노스볼트 공장은 결국 미국 다국적 기업의 손에 넘어갔다. 사진=노스볼트이미지 확대보기
노스볼트 공장은 결국 미국 다국적 기업의 손에 넘어갔다. 사진=노스볼트
유럽이 전기차 배터리 제조를 위해 한국을 신뢰할 수 있는 기술 파트너로 기대하고 있다. 최근 중국과의 두 가지 문제가 EU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면서 중국 기술에 대한 불신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26일(현지시각) 엘드베이트모터가 보도했다.

지난 한 해 동안 중국은 유럽 자동차 산업에 두 가지 매우 불행한 사건의 주역이 되었다.

첫째, 스웨덴의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Northvolt)는 중국 파트너로부터 구식이거나 손상된 기계를 받았고, 중국 운영자들은 기술 교육에 비협조적이었다는 의혹에 시달렸다.

결국 이 회사는 파산하여 미국 다국적 기업의 손에 넘어갔다. 당시 유럽 노동자들은 중국 노동자들을 '파괴자'라고 묘사하기까지 했다.
둘째, 네덜란드 반도체 회사 넥스페리아(Nexperia)의 최근 위기는 중국 파트너가 등장할 때 문제가 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네덜란드 정부는 공장에서 칩과 반도체 제조에 약간의 불투명성을 감지하고, 모든 생산을 중국으로 이전하려는 의도를 의심하자 개입했다.

그 시점에서 중국은 이 칩의 세계 시장을 폐쇄했고, 네덜란드는 공장 통제권을 중국 기업에 반환해야 했으며, 이는 여러 유럽 공장들이 이 부품 부족으로 중단되기 며칠 전이었다.

이러한 사건들 이후 유럽 브랜드들이 중국 대신 한국으로 눈을 돌린 것으로 보인다. 최근 언론이 스페인 발렌시아 사군토에 폭스바겐 그룹이 건설 중인 새 배터리 공장 현장을 방문했을 때, 클린룸 건설을 위해 K-배터리 회사 운영자들이 참석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 공장에는 리튬 배터리 셀 생산에 필수적인 11개의 방이 있으며, 머리카락보다 140배 작은 먼지 입자가 없고 습도가 1% 미만이어야 하는 고도의 청정 환경이 요구된다.

K-배터리 회사는 이러한 특성의 시설 제조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 전문 업체 중 하나로, 이미 20명 이상의 엔지니어가 건설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배터리 생산의 80%가 중국과 그 CATL, BYD 브랜드에 맡겨져 있으며, 한국은 LG, SK, 삼성 등 브랜드로 약 15%를 장악하고 있다.

미국은 나머지 5%의 글로벌 시장을 통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유럽이 찾고 필요로 하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될 수 있다.

폭스바겐 배터리 자회사인 파워코(PowerCo) 소식통은 공장 가동 과정에서 중국 기술의 등장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지만, 한국 기술의 주도적인 역할은 유럽의 배터리 공급망 재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