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기업 '방긋' 중견기업 '울상'...올해 1분기 '영업이익' 희비 엇갈려

글로벌이코노믹

대기업 '방긋' 중견기업 '울상'...올해 1분기 '영업이익' 희비 엇갈려

500대 대기업 1분기 영업익 60조9628억원...전년 동기 대비 17.1% 증가
500대 상장 중견기업 영업익 2조9416억원...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
18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500대 상장 중견기업의 매출은 60조9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3085억원(4.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조9416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221억원) 대비 2.7%(805억원) 감소했다. 500대 상장 중견기업 영업이익 증가 및 감소 상위 10개사. 사진=CEO스코어이미지 확대보기
18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500대 상장 중견기업의 매출은 60조9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3085억원(4.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조9416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221억원) 대비 2.7%(805억원) 감소했다. 500대 상장 중견기업 영업이익 증가 및 감소 상위 10개사. 사진=CEO스코어
올해 1분기 국내 주요 대기업과 중견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에서 대기업은 두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한 반면 중견기업들은 감소하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어서다.

18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500대 상장 중견기업의 매출은 60조9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3085억원(4.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조9416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221억원) 대비 2.7%(805억원) 감소했다.

중견기업의 영업이익 감소세는 500대 대기업의 1분기 영업이익이 60조9628억원으로 전년 동기(52조734억원) 대비 17.1%(8조8894억원) 급증한 것과 큰 대조를 보이는 모습이다.

중견기업 중 한미반도체(409억원·142.6%)가 영업이익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반면 제이앤티씨(-459억원·적자전환)는 1분기 영업이익이 가장 많이 줄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건자재 업체들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396억원(-65.6%) 급감하며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업종 내 40개 기업 중 25곳의 영업이익이 줄었고 영업적자를 기록한 기업도 지난해 1분기 6곳에서 올해 1분기 11곳으로 늘었다.

IT전기전자 업종에서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이 높은 성장세를 기록한 반면 장비 및 부품업종이 대부분인 중견기업들은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IT전기전자 업종의 중견기업 영업이익은 22.6% 감소했다.

해당 업종 내 102개 중견기업 중 절반이 넘는 57곳의 영업이익이 감소했고 영업적자를 기록한 기업 수도 23곳에서 35곳으로 늘었다.

IT전기전자 업종 내 중견기업 간에도 희비가 엇갈렸다.

AI(인공지능) 특수로 고대역폭메모리(HBM) 관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업체들은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지만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모바일·PC 관련 업체들의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제지(-549억원·-78.3%), 의료기기(-204억원·-49.9%), 유통(-25억원·-3.6%) 중견기업의 영업이익도 감소세를 기록했다.

이밖에 서비스(869억원·21.9%), 제약·바이오(431억원·23.0%), 자동차·부품(393억원·18.3%), 조선·기계·설비(379억원·20.3%), 석유화학(215억원·5.1%), 금속·비금속(154억원·6.1%), 생활용품(113억원·4.6%), 운송(87억원·15.5%), 식음료(14억원·1.4%) 업종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개선됐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