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토부, 고부가가치 ‘건설사업관리(PM)’ 확대한다

글로벌이코노믹

국토부, 고부가가치 ‘건설사업관리(PM)’ 확대한다

수자원·도로공사 등 4개 기관 PM 시범사업 적용
대형 국책사업 건설가치 향상·비용 절감 효과
‘시공 전부터 끝까지’ 전 과정 총괄관리
국가철도공단은 일산선의 5개 역사 리모델링 사업을 PM으로 통합 관리한다. 내년 상반기에 PM 발주하고 9월에 기본, 실시설계를 거쳐 2025년에 건설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사진은 일산선 5개 역사 조감도. 사진=국가철도공단 이미지 확대보기
국가철도공단은 일산선의 5개 역사 리모델링 사업을 PM으로 통합 관리한다. 내년 상반기에 PM 발주하고 9월에 기본, 실시설계를 거쳐 2025년에 건설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사진은 일산선 5개 역사 조감도. 사진=국가철도공단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공기업이 민간의 전문·창의성을 활용, 건설가치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해 ‘건설사업관리(PM: Project Management)’ 도입을 확대한다.

국토교통부는 LH·도로공사·철도공단·수자원공사 등 4개 산하기관이 추진하는 건설사업을 대상으로 전 과정에 PM을 도입하는 시범 사업을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화성동탄2 ‘트라이엠파크 복합문화공간’(LH), ‘화천역 외 1개 역사 신축사업’(철도공단)이 건설공사를 PM으로 추진 중이다.

대규모 국책사업 등 건설 과정에서 최적의 성과를 내기 위한 PM은 발주처를 대신해 프로젝트의 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 단계까지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건설사업의 공사비 절감·품질 향상·공기 단축을 목적으로 전문지식과 경험을 지닌 사업자가 위탁을 받아 관리하는 CM(Construction Management)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해외 건설 분야에서 PM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업종이지만 국내 기업의 역량과 실적은 선진국보다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 공공 공사의 PM 발주가 시공 단계에 대부분 편중(93% 정도)돼 있고, 감리 위주의 보조적 역할에만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가 앞장서 공공·민간 공사에서 PM을 활성화하고, 국내 PM 기업 육성을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 시범 사업에는 4개 공공기관이 모두 PM을 시공 전 단계부터 도입, 운영한다. 철도역사, 지식산업센터, 용수공급시설 등 다양한 공공 건설사업의 총괄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공사별로 내년 상·하반기에 PM 발주하고, 기본·실시 설계를 거처 2024년부터 건설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시범사업별 공공기관의 세부 계획을 보면 철도공단은 총사업비 450억원 규모의 ‘백석역·삼송역 등 일산선 5개 역사(연면적 2만6479㎡) 리모델링 사업’을 PM으로 통합, 관리한다. 사업관리자 역량을 활용해 역사 내 범죄 예방 세이프티존, 감염병 예방 위생설비, 우수유입 방지장치 등 안전설비 최적 배치 방안을 마련해 안전한 지하 교통환경을 구축한다.

LH는 ‘광명시흥 지식산업센터’(3만5840㎡) 건설공사에 PM을 활용한다. 총사업비 1407억원 규모의 지식산업센터 내 제조시설과 공유시설인 갤러리, 공유 오피스의 효과적 운영과 사업 수익성 증대 방안을 마련한다. 수자원공사도 ‘송산그린시티 용수공급시설 2단계 시설공사’에 PM을 적용한다. 배수지 1개소와 10km의 송수관로를 건설하며 총사업비는 760억원이다.

한국도로공사는 양지 나들목 사업에 PM을 도입한다. 총사업비가 301억원으로 685m 나들목 1개소를 건설한다. 민관 소통능력을 활용해 관계기관, 발주청, 이해관계자 간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원활한 사업 추진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상일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사업 경험이 많지 않은 발주청일수록 PM 도입·운영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며 “이번 시범 사업을 통해 사업 전반을 총괄관리하는 PM의 공공 건설사업 효과를 입증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발주청의 지침서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