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 2050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2배 증가…IRA 세액공제 등 영향

글로벌이코노믹

미, 2050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2배 증가…IRA 세액공제 등 영향

2021년 9월 콜로라도주 아르반다의 국립 재생 에너지 연구소 플랫아이언 캠퍼스에서 인프라에 관해 연설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AP·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2021년 9월 콜로라도주 아르반다의 국립 재생 에너지 연구소 플랫아이언 캠퍼스에서 인프라에 관해 연설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AP·뉴시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세액공제 규모가 커질수록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되고 원자력은 상대적으로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17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의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의 연차보고서 ‘에너지전망(AEO) 2023’ 분석에 따르면 IRA는 기후변화 대응과 청정산업 인프라 확충에 3910억 달러(약 517조원)를 지원하는 기후법안이다. 태양광과 풍력, 원자력을 청정에너지로 분류했다

태양광과 풍력 업체에 600억달러 규모의 세액공제와 신규 원전 건설 시 설비투자의 30% 투자 세액 공제를 주요 지원책으로 담고 있다. 지난해 11월까지 현행법과 규제, 8월에 발효된 IRA를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의 최종 에너지 소비는 2022년에서 2050년 사이 최대 15% 상승할 것으로 EIA는 예상했다.

재생에너지는 기술 비용의 감소와 정부 보조금의 영향으로 다른 발전원 대비 비용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2050년에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은 2022년 대비 2배로 증가할 전망이며 재생에너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전력수요 대부분을 충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2050년까지 원자력 순건설비용이 재생에너지보다 훨씬 가파르게 감소하지만, 재생에너지의 자본비용 감소, IRA와 같은 정부 지원책 영향으로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장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에경원은 “전력수요 증가에 발맞춰 재생에너지는 2050년 발전량과 발전용량 대부분을 차지할 전망”이라며 “상대적으로 석탄과 가스, 원자력 비중은 정체되거나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