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美 금리동결 예상 부합…연준 통화정책 불확실성은 높아져"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美 금리동결 예상 부합…연준 통화정책 불확실성은 높아져"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5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를 동결한 것을 두고 "시장 예상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면서도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유상대 한은 부총재는 8일 오전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이 밝혔다.

간밤 미 연준은 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를 4.25~4.50%로 동결했다. 지난 1월과 3월에 이어 연속 세 번째 동결이다. 이에 따라 한국(2.75%)과 미국(4.25~4.50%)의 기준금리 차이는 상단 기준 1.75%포인트로 유지됐다.

연준은 지난해 9월 0.50%포인트 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11월과 12월 각 0.25%포인트씩 금리를 내려 총 1%포인트 정책금리를 인하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회의 종료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 관세정책 등으로 경제전망의 불확실성이 커졌음을 강조하고 명확한 데이터를 확인하기 전까지 통화정책 결정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행정부가 교역국들과 관세 협상에 돌입했다"면서 “관세가 어떤 수준에 도달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지금은 기다려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한은도 경계감을 갖고 시장상황을 점검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유 부총재는 "향후 미 관세정책 추진과 주요국과의 협상,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요인의 전개양상에 따라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언제든지 확대될 수 있다"면서 "경계감을 가지고 시장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