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결속 강화로 자체 공급망 회복 가능
유럽 방산 성장 시 한국 '경쟁국' 될 우려
미국과의 공동 연구 과제도 발굴해야
유럽 방산 성장 시 한국 '경쟁국' 될 우려
미국과의 공동 연구 과제도 발굴해야

심순형 산업연구원 안보전략산업팀장(부연구위원)은 22일 글로벌이코노믹의 질의에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국방비 지출 증가로 한국이 얻는 반사이익에 기대지 말라고 주문했다. 한국의 반사이익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가입국에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촉구하자 나토 국가들이 이를 수용하면서도 자체 방어체계 고도화에 나선 데 따른 결과다.
심 위원은 “유럽국이 국방비 지출을 늘리면 한국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는 전망이 많지만, 나중에 유럽 역내 결속이 강화되고 방산 공급망이 회복되는 순간 그 반사이익이 줄어들 수 있다”면서 “동유럽 중심으로 잘되는 수출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장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반사이익에 기대지 않으려면 결국 미래 방산 경쟁력을 발굴하는 연구개발 전략을 마련하라고 심 위원은 주문했다. 실제로 주요 방산 기업들은 매출 호조를 누렸지만, 연구개발 비용을 그만큼 늘리지 못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은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7.9%와 2.4%로 전년보다 1.1%포인트(P), 0.6%P 감소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도 1.13%로 0.16%P 줄었다.
특히 방산 시장의 전통적 강자인 미국과 공동 연구개발 기회를 모색할 것을 주문했다. 한국이 미국 방산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미국산이 아닌 부품을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호 국방조달협정(RDP-A)을 정부가 나서 추진하라는 목소리가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공동 연구개발이라는 협력으로 미국을 설득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심 위원은 “무인편대기(CCA)뿐만 아니라 한·미가 공동 개발해 나갈 항목을 발굴해 나가야 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방위산업 생산 역량을 활용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미국의 방산 공급망 중 강점이 없는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의 역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