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으로 읽는 21세기 도덕경' 제41장

그러므로 노자는 도의 진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부연 설명했다. 예로부터 전해지는 말이 있으니 밝다고 하는 도는 어슴푸레한 것이고, 나아가는 듯 물러나는 것 같으며, 색깔이 없는 도는 최상의 골짜기 같고, 진실로 깨끗한 것은 무덤덤하다. 넓고 큰 덕은 모자란 듯하고, 덕을 행함은 가볍고 경박한 것 같다. 그리고 본연 그대로 진실한 것은 맑은 물이 흐린 듯하다고 하였다.
도는 밝은 듯 흐리다고 한 까닭은 빛이 섞인 희미한 어둠을 뜻한다. 명상으로 삼매에 들었을 때의 형용이기도 하다. 나아가는 듯도 하고 물러나는 것 같기도 하다는 것은 카오스가 일어나기 전에 도의 현묘한 움직임의 표현이다. 움직임이 있는 듯 없는 듯하여 모양도 색깔도 없다는 것은, 초연한 도의 모습 없는 형상과 고요함의 형용이다.
다음 구절, ’진실한 덕은 골짜기 같다‘는 뜻은 바라는 바 없이 덕을 베푸는 도의 쓰임이다. 골짜기 물이 흘러서 대지를 적셔 뭍 생명을 낳고 길러주듯 만물을 낳고 길러주는 곡신의 또 다른 표현이다. 그리고 진실로 가장 깨끗한 것은 아무런 느낌이 없이 무덤덤하다는 뜻은, 어느 한쪽에 치우침이 없어서 선악을 차별할 수 없는 진실한 도의 형용이다. 그것이 바로 중용이다.
큰 방위(天)는 모서리가 없고(大方無隅) 큰 그릇(宇宙)은 시간이 끝이 없듯 아득히 펼쳐져 있지만 충실하게 이루어져 있지 않음이 없다. 큰소리는 고요하고 대도는 모양이 없다. 그리고 도는 은밀하여 이름이 없고 이름이 없어도 잘 베풀어주고 잘 이루어지게 한다고 하였다. 큰 방위는 아득한 대우주를 뜻한다. 대우주는 모서리가 없이 아득하므로 원(圓)이라 형용한다.
대기만성을 일반적으로 큰 인물은 늦게 이루어진다고들 해석한다. 하지만 동의하지 않는다. 세계 사대성인이라는 붓다와 예수 그리스도는 30세에 대각을 얻어 크다기보다 위대한 인물이 되었고, 공자 소크라테스는 50대 젊은 나이에 뜻을 이루었다. 소위 영웅이란 큰 인물들도 마찬가지다. 징기스칸은 40대에 동양은 물론 유럽까지 지배하였고 알렉산드는 20대에, 한국의 광개토대왕 역시 20대에 동아시아 대부분과 러시아 일부에다 틔르키에까지 정복하였다. 모두 늦게 뜻을 이룬 큰 인물은 없었다.
대기는 대우주를 뜻하고, 만성은 아득한 대우주가 비어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일체 존재를 빠짐없이 이루어져 있다는 뜻이다. 즉 대우주를 큰 그릇에 비유하고 이루어지다는 뜻의 성(成)은 충실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리고 늦다는 뜻의 만(晩)의 본래 의미는 시간의 끝을 의미한다. 그렇게 해석하면 이 장의 줄거리인 중용과 모든 구절이 막힘없이 이어진다.
끝 구절 큰 소리는 고요하다는 것은, 우주의 소리를 의미한다. 하늘은 오른쪽으로 돌고, 지구는 왼쪽으로 돈다. 지구가 도는 소리가 엄청나지만, 청각을 초월하므로 들을 수 없거니와 대우주의 에너지가 도는 소리는 더더욱 들을 수 없다. 불교에서는 우주의 소리를 옴(OM)이라 하기도 하지만 실제 소리의 표현이 아니라 일종의 주문이다. 그만큼 우주의 소리는 희귀한 것이다. 이처럼 대우주와 도의 작용은 모양도 없고 소리조차 들을 수 없이 은밀한 것이다. 하지만 만물을 낳고 기르는 덕을 그치지 않는다.

정경대 한국의명학회 회장(종교·역사·철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