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H-1B 신규 신청 수수료를 10만 달러(약 1억4100만 원)로 대폭 올리면서 글로벌 기술 업계가 충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가 이를 인재 유치 기회로 삼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7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영국 런던에서 기자들과 만나 “과거라면 H-1B 비자를 받았을 기술 인력이 이제는 캐나다로 올 수 있는 기회가 분명해졌다”며 “이들 대부분은 기술 분야 종사자이고 이주해 일할 의지가 있다”고 말했다.
◇ 트럼프 정책 후폭풍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서명한 행정명령을 통해 H-1B 신규 신청에 연간 10만 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물론, 인도와 중국 등에서 유입되는 대규모 IT 인력의 진입 장벽이 급격히 높아졌다. 인도 정부는 즉각 반발하며 양국 간 혁신과 인재 교류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 캐나다·유럽 반사이익 전망
캐나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자국 이민 전략에 반영해 글로벌 기술 인재를 적극 흡수하겠다는 계획이다. 독일과 영국도 미국 대신 자국을 대체지로 내세우며 인재 확보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로열뱅크오브캐나다(RBC)의 데이브 맥케이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새로운 H-1B 규정은 캐나다가 유학생 출신의 우수 인재를 잔류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캐나다의 강점
캐나다는 이미 밴쿠버, 토론토, 몬트리올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글로벌 IT 기업들의 연구개발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밴쿠버는 미국 시애틀과 가까워 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대기업들이 인력 수급의 대안으로 활용해왔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이민 장벽 강화가 오히려 캐나다를 비롯한 다른 국가에 ‘두뇌 유출’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