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H-1B 비자 신청에 10만 달러(약 1억4100만 원)의 신규 수수료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이후 미국 기술업계 전반이 혼란에 빠지고 있는 것으로 우려됐다.
◇ 인튜이티브, H-1B 신규 채용 잠정 중단
27일(이하 현지시각)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 본사를 둔 글로벌 메드테크 대기업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최근 낸 채용 공고 100여 건에서 “최근 행정명령으로 인한 불확실성 때문에 H-1B 비자 스폰서십이 필요한 지원자에 대한 고용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최소 침습 수술용 ‘다빈치’ 로봇의 제작업체로 유명한 이 회사는 전 세계 직원이 1만3000명이 넘으며 지난해 매출은 80억 달러(약 11조2800억 원), 시가총액은 1500억 달러(약 211조5000억 원)에 달한다.
◇ 美 기술업계 전반 확산되는 우려
ABC뉴스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조치가 미국의 기술 경쟁력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전했다.
전미정책재단(NFAP)의 스튜어트 앤더슨 전무는 “10억달러 규모 이상 스타트업의 절반 이상은 최소 한 명의 이민자 공동창업자가 있다”며 “이들 기업이 수천 개의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해왔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는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미 이민귀화국(INS) 고위직을 지낸 인물로 “고숙련 인력을 미국으로 끌어들이지 못하면 지배적인 경제를 유지할 기회도 잃게 된다”고 지적했다.
미국 코넬대 산하 첨단기술 대학원 코넬테크의 그렉 모리셋 학장은 “대기업은 추가 비용을 감당할 수 있겠지만 스타트업에게는 치명적”이라며 “이번 수수료 인상은 신생 기업들의 성장을 막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같은 글로벌 기업도 H-1B를 통해 성장했다”며 이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제도 혼선과 법적 쟁점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향후 법적 도전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제레미 로빈스 미국이민위원회 전무는 “연방법은 이민국(USCIS)이 수수료를 처리 목적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대통령이 독단적으로 변경할 권한은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 장기적 파장 불가피
ABC뉴스는 이번 조치가 되돌려지더라도 이미 미국 내 기술 인재 유치에 부정적 신호를 줬다고 분석했다. 모리셋 학장은 “유학 후 창업을 고민하는 해외 인재들이 미국을 떠나 다른 나라로 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캐나다, 독일, 영국 등은 최근 미국의 비자 정책 강화로 발생한 인재 수요를 적극적으로 흡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앤더슨 전무는 “작은 스타트업조차 해외 사무소를 두고 인재를 확보하려 할 것”이라며 이는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와 반대로 미국 기술 산업의 입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