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13:27
하루에 물을 대고 종이배를 띄운다/ 투명한 유년이 피어오른다/ 원색 항해에 녹색이 앞장서 달려온다/ 삶을 흘러가면서/ 배는 다양한 풍경과 만난다/ 거친 세상을 부대기면서/ 묵직한 침묵은 무기가 된다/ 바람 부는 날에도 배는 오후를 넘는다/ 삶이 힘들고 마음이 흔들릴 때면/ 초록 눈부신 동심을 향해 담박질하는/ 나를 마주한다/ 아직/ 그곳 강 같은 바다에는/ 작은 일렁임을 낚는 시인들이 서성이겠지/ 나는 순수의 제단에서 여린 영혼을 위해 기도한다 10월 4일(토) 일곱 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이음 댄스프로젝트(예술감독 안병주 경희대 교수) 주최·제작, 서울특별시·서울문화재단 후원, 안귀호(경희대 글로벌미래교육원2025.10.14 10:17
1990년대에는 88올림픽 분위기의 들뜸이 사라지고 ‘하면 된다’라는 자신감으로 가득 찬 시기였다. 만주 벌판이라 불리던 운동장 뒤편 건물에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건물이 자리하고 있었다. 주경야독(晝耕夜讀),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한 송용일(宋鏞日)은 직장 관계로 저녁에 대학원을 다녀야만 했다. 그가 대학원에서 전공하기로 마음먹은 연극과에는 동양 최대의 연극 자료 수집광 고승길 교수가 지도교수로 터를 잡고 있었다. 송용일에게는 더 없는 행운이었다. 송용일은 대학 동아리에서 무대미술로 연극을 바라보았다. 그는 현대극장의 김의경作 '길 떠나는 가족'(1991) 초연 때 무대미술 감독으로 데뷰했다. 새천년에 들어선 2000년2025.10.13 10:34
안개가 걷히기 전에는 알지 못했다/ 산봉우리가 몇 개 인지를/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마포아트센터가 스쳐 지나갔다/ 마지막으로 대학로에서 본 그녀는/ 불투명한 미래로 마음이 일렁이고 있었다/ 짧은 긴 시간이 흘렀다/ 문명이 흐르는 오페라극장은 만석이었다/ 기대감을 잔뜩 머금은 공연은/ 기우를 털어내고 존중의 대상이 되었다/ 정석 사이에 낭만을 섞은 발레는/ 여름 열기를 품고 정상을 갖추었고/ 푸른 발레는 도자 위에 사연을 전하고 있었다/ 이제 소금꽃을 찾아 길 떠나는 장정을 알렸을 뿐인데/ 지나친 찬사에 미혹되지 않기를 경계해야 한다 9월 7일(일) 오후 3시,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2025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 선정 프2025.10.03 15:05
대한황실문화원은 오는 8일부터 12일까지 서울 종로구 창덕궁 낙선재에서 2025 가을 궁중문화축전 행사의 하나인 ‘낙선재 100년의 시간과 풍경’이 열린다고 2일 전했다. 2025 가을 궁중문화축전은 ‘낙선재 100년의 시간과 풍경’ 외에도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창경궁 등 궁궐과 종묘에서 다양한 행사로 진행된다. ‘낙선재 100년의 시간과 풍경’은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가 주최하고, 국가유산진흥원과 대한황실문화원이 공동 주관한다. ‘낙선재 100년의 시간과 풍경’은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해방, 한국 전쟁 등을 거쳐 지금에 이르는 지난 100년간의 현대사에서 낙선재의 의미, 그리고 낙선재에 살았던 대한제국 황실 세 여인인 순2025.10.01 15:11
9월 28일(일) 오후 4시 청주 국민체력센터 및 스쿼시경기장에서 국가무형유산 태평무 박재희 보유자 주최·주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국가유산진흥원 후원의 ‘태평무의 날’ 기념, 2025 국가무형유산 태평무보유자 박재희 공개행사 ‘다함께 태평무를 춤추다’(예술감독 박재희, 지도 홍지영 손혜영 김진미 고수현, 총괄진행 이예윤 정희담)가 김연진 사회로 공연되었다. ‘태평무의 날’ 기념 공연은 일반인 포함 150여 명이 춤추는 방대한 규모로 지대한 관심을 끌었다. ‘태평무의 날’ 행사는 우천 행사가 될 것을 피하여 발 빠른 장소 이동이 이루어져 실내에서 진행되었다. 기념 공연은 ‘태평무’와 인접 장르와의 협업으로 악1
인천 옹진군은 숨겨진 보석...기자단 "진정한 힐링의 섬 100곳” 감탄
2
아세안정상회의 개막…트럼프·한중일 등 정상 한자리에
3
李대통령, 내일 아세안서 'CSP 비전' 공개 예정
4
시흥시, ‘2025 시화호 갯벌 맨발걷기 페스타’ 성료..."치유와 회복의 시간”
5
“사상공단의 변신”… 낡은 산업단지에서 첨단 복합도시로
6
인천경제청, ‘IFEZ 투자기업 CEO 초청’ 간담회 마무리
7
안산시, ‘로봇도시 루트 직업교육 혁신지구 지원센터’ 개소
8
내년부터 5월 1일 '근로자의 날'서 '노동절'로 바뀐다
9
허식 의원 5분 발언, ‘계양방송통신시설’ 활용 촉구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