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은 "韓美 국채금리 동조성 강화… 美금리에 국내 국채금리 출렁"

공유
0

한은 "韓美 국채금리 동조성 강화… 美금리에 국내 국채금리 출렁"

'최근 글로벌 통화긴축기 중 미국 국채금리의 국내 파급영향 확대 배경 및 평가' 보고서 공개

사진=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한국은행
글로벌 통화긴축이 본격화된 2022년 이후 다른 주요국들보다 우리나라 장기 국고채 금리의 미국 장기 국채금리의 동조성이 확대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문제는 향후 한국과 미국의 피벗(pivot·통화정책기조 전환) 과정에서 미국 국채금리가 크게 움직일 경우 국내 금융시장이 출렁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다만 글로벌 통화정책 차별화가 본격화되면 미 국채금리의 영향력이 축소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한국은행은 1일 '최근 글로벌 통화긴축기 중 미국 국채금리의 국내 파급영향 확대 배경 및 평가'라는 BOK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통화긴축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22년 이후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 장기금리는 오랫동안 미국 장기 국채금리 변동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왔다

우리나라 장기 국고채금리는 이번 글로벌 통화긴축기를 거치면서 여타 국가에 비해 미 장기 국채금리와의 동조성이 더 확대됐는데 △미국과의 금융연계성 강화 △실물경제·정책금리 동조화 △국내 투자자의 미 금리 추종경향 강화 △국채선물시장에서 외국인의 방향성 거래 확대 △미 달러화 강세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자료=한국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자료=한국은행


한은이 2022년부터 올해까지 10년물 국채금리의 월별 변동에 대한 기간 중 상관계수를 시산한 결과, 한국은 미국과 동조성이 0.94를 기록했다. 이는 2013~2021년간 평균(0.61)보다 높고 캐나다(0.88), 호주(0.83), 영국(0.74), 일본(0.53) 등 주요 8개국과 비교해도 월등한 수준이다.
특히 한은은 미 국채금리 충격이 확대되고 국내 요인이 안정된 가운데 국내외 투자자들의 한·미 금리 동조성에 대한 경직적 기대로 미 국채금리 추종경향이 강화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채금리가 미국 국채금리를 추종하는 경향이 커지면서 연준이 본격적으로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 미 국채금리가 출렁이고 이에 따라 한국 국채금리도 높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게 한은의 우려다.

다만 한국과 미국의 통화정책이 차별화되면 향후 미 국채금리의 영향력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구병수 금융시장국 채권시장팀 과장은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인 2020년 4월~8월 중, 한국 기준금리 동결 전후인 2022년 10월~2023년 3월 중, 최근 금리인하 시점에 대한 통화정책 방향 제시 직후인 올해 1월~2월 중 한국과 미국의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차별화되며 미국 국채금리의 영향력이 감소했다"면서 "국내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미국과 차별화되었을 때 미 국채금리의 영향력이 축소된 점을 고려할 때, 국가별 물가·경기 여건에 따른 글로벌 통화정책 차별화가 본격화될 경우에는 미 국채금리의 영향력이 다소 줄어들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