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獨 우체국 전보 서비스 170년 만에 중단…한국에도 영향줄 듯

공유
0

獨 우체국 전보 서비스 170년 만에 중단…한국에도 영향줄 듯

우편 서비스 시대 가장 빠른 서비스, 이메일‧단문메시지 등에 밀려
내년 1월 공중전화 서비스도 폐지, 공공서비스 역할 재검토 불가피

독일 우체국 전경.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독일 우체국 전경. 사진=연합뉴스
1852년 처음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한때 전세계에서 가장 빠른 통신수단이었던 전보가 독일에서 170년 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이와 함께 내년 1월에는 공중전화 서비스도 중단, 정부의 공옹 통신 서비스 역할과 범위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한민국의 우체국과 KT가 제공하고 있는 국민 보편적 서비스의 영역 축소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30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독일 우체국은 내년 1월 1일부터 전보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전보를 보내고 싶은 사람은 올해 31일 오전 3시까지 전화나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해당 전보는 당일날 배달된다.

전보는 인터넷이나 PC통신과 같은 네트워크 망이 없던 우체국의 우편 서비스로 소식을 주고 받던 시기에 새로운 소식을 가장 빨리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서비스로 각돵 받았다.

즉, 이용자가 알리려고하는 정보를 전기통신설비를 사용하여 문자로서 신속히 보내어 수취인에게 배달하는 통신수단으로, 전기통신설비를 사용하는 점에서 우편과는 다르며, 음성이 아닌 기록된 문자 등을 배달하는 점에서 전화와도 다르다. 세계 최초의 전보는 852년 미국인 E.P 스미스가 개설했으며, 이후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소식을 전하는 가장 빠른 통신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관할 우체국에 전화로 부르면 텔렉스로 수신자 인근 우체국에 전달돼 사환이 배달하는 식이였다. 단어나 기호마다 보내는 데 돈이 들었기 때문에 인칭대명사나 형용사를 뺀 최소한의 줄임말로 보내는 게 특징이었다.

독일 우체국 대변인은 “최근 들어 거의 아무도 전보를 보내지 않아 서비스를 중단하게 됐다”면서 “기업이나 행정관청이 창립기념일이나 초대장을 보내는 경우 외에는 더는 의미 있는 규모의 전보를 보내는 경우가 사라졌고, 그마저도 최근 들어 상대적으로 전보를 보내는 게 비싸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독일 우체국이 제공해온 전보서비스는 160자에 12.57유로(약 1만6900원), 480자에 17.89유로(약 2만4000원)로 다른 서비스에 비해 가격이 비싼 축에 속한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디지털 통신수단으로 전환하거나 개별적으로 편지를 보내게 됐다는 게 우체국의 설명이다. 독일 우체국은 전세계에서 전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지막 우체국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뿐만 아니라 내년 1월부터는 독일에서 공중전화도 사라진다.

독일 텔레콤은 내년 1월 말부터 마지막으로 남은 1만2000대의 공중전화 서비스를 모두 차단한다고 밝혔다. 지난 11월부터 공중전화를 이용할 때 현금을 쓰는 게 불가능해졌고, 이제 1월 말에는 전화카드도 쓸 수 없게 된다.

1881년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 처음 설치된 공중전화는 많을 때는 16만대에 달했지만, 휴대전화가 확산한 이후 아무도 사용하지 않았다. 아직 남아있는 공중전화 3대 중 한대는 지난해 1유로(약 1345원)의 매상도 올리지 못했다.

한국의 경우 전보는 우체국을 운영하는 우정사업본부가, 공중전화는 KT그룹이 계열사를 통해 서비스 하고 있다. 이미 유선은 물론 무선과 모바일 서비스가 보편화 한 한국에서는 이메일 사용량도 카카오톡과 전보를 뜻하는 텔레그램 등 무선 SNS 문자서비스는 물론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까지 활성화 되어 있어 정부 산하 공공기관이 서비스하는 공공 서비스의 역할은 사라진지 오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전보와 공중전화 서비스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정보통신기술(ICT) 환경에서 소외되어 있는 이들에게 제공해야 하는 국민 보편적 서비스 정책에 따른 것인데, 이들 서비스는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들어 기업에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보조금을 제공하는 정부도 과연 언제까지 이용률이 전무하다시피한 공공 서비스에 국민의 세금을 쏟아 부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가져왔다.

업계 전문가는 “독일 당국의 정책적인 결정은 한국에서의 통신 부문 서비스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