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뱅킹레이트는 지난달 2일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을 선언하며 각국에 대한 신규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힌 뒤 미국 내에서 정치적·경제적 논쟁이 커지고 있는 상황을 반영해 챗GPT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의 목적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챗GPT는 △미국의 무역적자 축소 △자국 산업 보호 △중국 압박 △국내 제조업 부활 △정치적 메시지라는 다섯 가지로 응답했다.
챗GPT는 첫 번째 이유로 ‘무역적자 축소’를 들었다.
챗GPT는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등과의 대규모 무역적자로 미국이 돈을 잃고 있다고 주장했다”며 “관세는 외국산 제품 가격을 올려 소비자가 국산 제품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수입을 줄이는 효과를 노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미국은 지난 1976년 2분기를 제외하고는 매 분기 무역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두 번째로 꼽힌 것은 ‘자국 산업 보호’다. 챗GPT는 “철강, 알루미늄, 세탁기 등 외국산 제품에 관세를 매겨 자국 제조업체와 근로자를 싼 가격의 해외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했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의 날보다 한 달 앞선 시점에 이미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미국철강협회(AISI), 알루미늄협회(AA), 재생연료협회(RFA) 등 산업계 단체들이 이를 지지했다.
세 번째는 ‘중국 압박’이다. 챗GPT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중국을 주요 대상으로 삼았다”며 “지식재산권 침해 중단, 강제 기술 이전 철폐, 미국 기업의 중국 시장 접근 확대, 중국 국영기업 보조금 축소 등을 압박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2016~2020년 1기 집권 당시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무역전쟁을 벌인 바 있으며 2024년 대선 캠페인에서는 중국산 전 제품에 최소 6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네 번째는 ‘국내 제조업 부활’이다. 챗GPT는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제품 가격을 인위적으로 올리면 기업들이 생산을 미국으로 이전하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며 “이를 통해 일자리와 공장 가동률을 높이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미국 내 제조업은 1979년 민간 부문 일자리의 25%를 차지했지만 현재는 8% 수준으로 감소했다.
마지막은 ‘정치적 메시지’다. 챗GPT는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 기조에 부합하며 펜실베이니아·미시간·오하이오 등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주의 유권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는 조치”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당시부터 관세 강화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으며 이같은 관세 부과를 통해 지지층 결속을 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5월 중국과의 협상에서 관세를 90일간 유예하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양국 간 무역 갈등이 다소 완화되는 양상이지만 여전히 고관세 정책은 미국 정계와 경제계 전반에 걸쳐 논쟁의 중심에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