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H-1B 비자 신청비 10만달러 인상…젠슨 황·샘 올트먼 “이민은 아메리칸드림의 토대”

글로벌이코노믹

H-1B 비자 신청비 10만달러 인상…젠슨 황·샘 올트먼 “이민은 아메리칸드림의 토대”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왼쪽)가 지난해 3월 1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서 열린 스탠퍼드 경제정책연구소(SIEPR) 서밋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왼쪽)가 지난해 3월 1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서 열린 스탠퍼드 경제정책연구소(SIEPR) 서밋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H-1B 비자 신규 신청 수수료를 10만 달러(약 1억4000만 원)로 대폭 인상하면서 글로벌 IT 업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그러나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와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오히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이민이 미국 혁신의 원동력이라고 강조하며 높은 장벽이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끌어들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고 타임스오브인디아가 2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 황 “이민은 아메리칸드림의 기초”

젠슨 황 CEO는 “밝은 두뇌들이 미국에 오기를 원한다. 이민은 아메리칸드림의 기초이자 우리 회사 성장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엔비디아가 오픈AI의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1000억 달러(약 140조 원)를 투자한다고 밝히며 글로벌 인재 유치가 혁신 확산의 핵심임을 강조했다.

◇ 올트먼 “상위 인재 유입 위한 건설적 변화”


샘 올트먼 CEO는 이번 인상을 “가장 뛰어난 두뇌를 미국으로 끌어들이는 건설적 정책 변화”라고 평가했다. 그는 “절차를 단순화하고 재정적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면서 이번 조치가 이민 시스템을 정교화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 인도 IT 업계에 직격탄


백악관은 이번 인상안이 신규 신청자에만 적용되며 갱신·재입국에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고용주는 신청 전 수수료 완납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고 미납 시 12개월간 신청 제한을 받는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가 미국 내에서 대체 가능한 노동이 아닌 ‘대체 불가 핵심 인력’만 받아들이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인도와 중국은 지난해 H-1B 비자의 80% 이상을 차지한 만큼 큰 타격이 예상된다. 인도 IT 대기업들은 수천억루피의 추가 비용 부담에 직면했고 현지 전문가들은 숙련 인력이 미국 대신 인도에 머무르는 ‘역(逆) 브레인드레인’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인도 정부와 업계단체 NASSCOM은 경제·인도주의적 우려를 제기하며 워싱턴과 대화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 업계 갈라진 반응


JP모건 등 일부 글로벌 기업들은 H-1B 직원들에게 정책 발효 전 해외여행을 자제하라고 권고했다. 전반적으로 업계의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황과 올트먼의 지지는 이번 조치가 ‘미국 이민의 기준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시각을 보여준다는 해석이다. 특히 AI와 첨단컴퓨팅 분야에서는 ‘소수 정예 인재 선별’이 긍정적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