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10 07:05
"앞으로 10년 내 1400조 원대에 달하는 해상풍력시장을 잡아라"이성근 대표(64·사진)가 이끄는 국내 '조선 빅3(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업체 가운데 하나인 대우조선해양이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부상한 해상풍력시장 공략에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해상풍력은 바다 위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해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얻는 발전 방식이다. 해상풍력은 육상풍력과 비교해 설비비용이 비싸지만 설치에 따른 규제가 덜해 풍력 인프라를 대규모 조성할 수 있다. 또한 효율성도 높아 전력 생산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대우조선해양, 모나코 선사로부터 WTIV 수주 추진특히 전세계적으로 친환2021.03.09 16:31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중간지주사 한국조선해양이 총 8350억원 규모의 선박 8척을 수주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 유럽 소재 선사들과 1만5900TEU 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4척, 9만1000m³ 급 초대형 액화석유가스(LPG)운반선 2척, 4만m³ 급 중형 LPG운반선 1척, 5만t 급 석유제품운반선(PC선) 1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수주한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길이 364m, 너비 51m, 높이 30m로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22년 하반기부터 선사에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컨테이너선 운임 지표 상하이 컨테이너선 운임지수(SCFI)는 지난 1월 15일 2885포인트를 기록해 최초로 집2021.03.09 14:58
삼성중공업이 아시아 지역 선사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추진 컨테이너선 6척을 수주했다고 9일 밝혔다.이번 수주는 총 7942억 원으로 건조계약이 체결됐으며 1만5000TEU급 규모로 건조될 예정이다. 이 선박은 기존 컨테이너선과 동일하지만 선박 연료로 LNG가 사용된다는 점이 다르다. 선박은 2024년 1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계약을 포함해 올해 들어 총 19척, 24억 달러(약 2조7400억 원)를 수주했다. 올 1분기가 채 끝나기 전에 목표 78억 달러(약 8조9000억 원)의 31%를 달성하는 등 수주 목표 달성을 향해 순항 중이다. 이는 세계 경기회복 기대감과 탈탄소 정책과 환경규제에 따른 친환경 선박 수요2021.03.06 14:20
해운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하역작업 차질로 운임이 올해 3분기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종합물류회사 DHL 보고서에 따르면 정기 컨테이너선을 운용하는 대다수 선사들이 태평양횡단 노선 가동률을 끌어올린 가운데 항만 하역 작업이 물동량 증가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고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초 미주노선 운임은 FEU(40피트 컨테이너박스) 당 1500달러에 머물렀지만 지난해 말부터 물동량이 폭증해 4000달러까지 치솟았다. 설상가상으로 미국 항만 근로자 상당수가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나 고운임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DHL 자료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2021.03.04 15:00
현대중공업그룹 조선 중간지주사 한국조선해양이 한국선급(KR)과 손잡고 수소선박에 대한 세계 첫 국제표준 개발에 나선다. 한국선급은 신기술에 대한 정합성, 안전성 등을 체크해 주는 검사 업체다. 한국조선해양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퍼스트타워에서 한국선급과 수소선박 안전설계 규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두 회사는 이번 MOU를 통해 세계 첫 수소선박 국제표준을 공동 개발하고 오는 2022년까지 국제해사기구(IMO)에 제출할 계획이다. 선박이 전세계 바다를 항해하려면 국제해사기구 선박 규정에 따라 건조돼야 하는데 현재는 수소 선박 관련 기준은 없는 상태다. 특히 가스선은 일반 화물이 아2021.02.27 13:20
GS에너지와 조선사 한국조선해양 그리고 국적선사 HMM(옛 현대상선)이 뭉쳐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사업 추진에 힘을 모은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GS에너지가 한국조선해양에 VLCC 3척을 발주했다. 발주된 선박은 한국조선해양 계열사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돼 오는 2022년 하반기부터 GS에너지에 인도될 예정이다. 선박은 재화중량 30만t 규모 VLCC며 길이 328m, 너비 60m, 높이 30m의 제원으로 건조된다. 건조 계약 금액은 척당 9000만 달러(약 1000억 원)로 알려졌다. GS에너지는 인도받게 되는 선박을 HMM에 대선(배를 빌려주는 계약)하게 된다. 계약 기간은 10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5년간 추가 대선하는 내용도 계약조건에2021.02.24 16:21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부문 중간지주사 한국조선해양이 총 5700억 원 규모의 선박 6척을 수주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유럽 선사로부터 4만5700t급 컨테이너‧로로 겸용선(컨로선) 6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발주처(선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6척의 선박 주문은 이탈리아 선사 그리말디(Grimaldi) 그룹이 한 것으로 추정된다. 로로선은 차량을 직접 운전해 배에 선적할 수 있는 선박이다. 이에 따라 한국조선해양이 이번에 수주한 컨로선은 차량 적재와 컨테이너박스 적재가 동시에 가능하다. 이에 더해 상‧하역 설비가 없는 항구에서도 선박 크레인2021.02.24 06:50
가삼현(64·사진) 사장이 이끄는 세계 1위 조선사 한국조선해양이 올해 다각화된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수주 전략을 통해 조선업계 최강자 면모를 이어간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은 과거에는 과거에는 16만t 급 이상 대형 LNG운반선 수주에 집중했지만 올해부터 중소형 LNG운반선 수주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 대형 LNG운반선 시장에서 명실상부한 최강자한국조선해양은 이달 초 다자 간 전화회의(컨퍼런스콜)에서 “올해 LNG운반선 수주는 최소 25척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반적으로 조선사가 밝히는 LNG운반선 수주 목표는 대형 LNG운반선인 16만t 급 이상 선박을 대상으로 한다.2021.02.23 14:23
국적선사 HMM(옛 현대상선)이 국내 기업들의 원활한 수출을 돕기 위해 이달에도 임시선박 4척을 추가 투입한다고 23일 밝혔다. HMM은 그동안 미주 서안과 동안, 유럽, 러시아 항로에 임시선박을 투입해 왔으며 한 달 동안 4척을 투입하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지난 20일 부산 신항에서 출항한 6800TEU 급 컨테이너선 HMM 상하이(Shanghai)호는 5504TEU급 화물을 싣고 미주 서안 캘리포니아주(州) 로스앤젤레스(LA)항으로 출발했다. 전체 화물 중 70% 이상이 국내 중견·중소 화주 물량으로 선적됐다. TEU는 컨테이너박스 1개 단위를 뜻한다. 또 베트남 항로에는 첫 임시선박이 투입된다. 1200TEU 급 컨테이너선 유창(Yu Chang)호가 102021.02.22 13:49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중간 지주사 한국조선해양이 총 5400억 원 규모의 선박 9척을 수주하는데 성공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소재 선사들과 30만t급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3척, 4만㎥ 급 중형 액화석유가스(LPG)운반선 2척, 5만t 급 중형 석유제품운반선(PC선) 3척, 1800 TEU 급 컨테이너선 1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수주한 초대형 VLCC는 길이 328m, 너비 60m, 높이 29.6m로 전남 영암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돼 2022년 하반기부터 선주사에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초대형 VLCC 31척 중 17척을 수주해 전체 발주량의2021.02.18 16:09
삼성중공업이 액화천연가스(LNG)추진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수주를 거듭하며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LNG추진 VLCC는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다. 일반적으로 LNG를 연료로 사용하면 기존 연료 벙커C유 대비 황산화물(SOx)과 미세먼지는 99%, 질소산화물(NOx)은 최대 85% 까지 줄일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18일 오세아니아 지역 선사로부터 LNG추진 VLCC 4척을 총 4587억 원에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들 선박은 2023년 6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계획이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15일 LNG추진 컨테이너선 5척 수주를 포함해 일주일 사이 LNG추진선만 9척, 약 1조2000억 원을 수주했다. 이에 따라 다가오는 친2021.02.17 15:52
해운업 호황으로 컨테이너선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올해 한국 등 아시아 조선사의 수주 전망이 밝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은 전세계 선사들이 아시아 지역 조선사에 컨테이너선 총 23척을 발주했다고 17일 보도했다. 또 영국 금융정보업체 IHS마킷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선사의 누적 발주 물량은 지난해 말까지 꾸준히 감소했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는 올해 초부터 반전됐으며 총 23척의 새 컨테이너선이 발주돼 누적 발주 물량 201척을 기록하고 있다.특히 국내 조선 3사 수주 실적을 살펴봐도 여러 선종 가운데 컨테이너선 수주 물량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올해 수주한 선박 총 10척 가운데 9척이2021.02.15 16:11
삼성중공업이 액화천연가스(LNG)추진 컨테이너선 건조 계약을 수주해 친환경 선박 시장 지배력을 높여가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아시아 지역 선주로부터 총 7812억 원 규모 1만5000 TEU 급 LNG추진 컨테이너선 5척을 수주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수주한 선박은 오는 2023년 7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에 수주한 선박은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 등 선박 대기오염 가스 배출 규제를 만족하기 위해 청정에너지 LNG를 주요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이다. 여기에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각종 연료 절감장치(Energy Saving Device)와 스마트십 솔루션 에스베슬(SVESSEL)까지 탑재해 운항 경제성이 더욱 높아질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F-21 넘어 6세대 전투기 엔진 독자 개발 착수2
테슬라 · 아이온큐 · SMCI 슈마컴 "돌연 급락"3
리플, 11억 달러 XRP 이동…서클 인수 불발 속 배경에 궁금증 증폭4
양자 컴퓨터, 최적화 난제 해결 능력 슈퍼컴퓨터 압도... '양자 우위' 현실 성큼5
리플 XRP 거래자들, 현물 ETF 승인 85% 전망에 사상 최고치 경신 기대감 증폭6
리플 XRP 급락에 1000% 청산 불균형…반등 시 3달러 돌파 가능성도7
리게티 컴퓨팅, 퀀타컴퓨터 투자 유치로 양자 컴퓨팅 협력 '날개'8
크립토타임즈 "리플 회장, 폴 앳킨스 SEC 위원장과 회동 예정"9
리플, 스테이블코인 업체 서클 40~50억 달러 규모 인수 제안...서클은 '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