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05 14:35
삼성중공업이 올해 첫 수주에 성공하며 친환경 선박 발주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한국 선사 팬오션으로부터 1993억원 규모의 17만4천㎥ 급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1척을 수주했다고 5일 공시했다. 이 선박은 2023년 4월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에 수주한 선박에는 최신 멤브레인 기술 '마크 3 플렉스(Mark-Ⅲ Flex)'가 적용된다. 마크 3 플렉스 기술은 프랑스 설계업체 GTT의 기술이다. 이 기술은 LNG탱크에 보관된 LNG의 기화율(증발율)을 0.085~0.1% 수준으로 유지해 LNG 손실이 최소화 되도록 돕는다. 또 화물창에 재액화 시스템이 장착돼 화물량 손실을 최소화했으며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와 선박평형수 처2021.01.05 13:52
한국 조선업계가 지난해 하반기 대규모 수주 러시에 힘입어 수주물량 3년 연속 세계 1위를 달성할 전망이다. 조선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 리서치는 지난해 12월 28일 기준으로 지난해 전세계에서 발주된 물량이 총 1792만CGT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CGT는 발주·수주한 물량에 부가가치를 고려한 단위다. 벌크선 1척, LNG운반선 1척을 비교했을 때 부가가치가 큰 LNG운반선에 더 큰 CGT가 적용된다. 총 물량 가운데 중국이 798만CGT, 한국이 673만CGT를 수주하며 수주량 1, 2위를 차지했다. 다만 집계된 CGT 수치에 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LNG운반선 17척이 제외돼 있어 이 물량을 더하면 한국이 수주한 물량은 총 818만C2021.01.05 13:52
지난 4일(현지시각) 인도양 서북부의 페르시아만과 오만만을 이어 주는 '호르무즈해협'에서 이란 혁명수비대가 나포한 ‘한국 케미(Hankuk Chemi)’호이 이목이 쏠리고 있다. 선박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나포된 것인지, 운항금지 지역을 운항했기 때문에 나포된 것인지 등 다양한 이유를 살펴봐야 나포 원인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이란 혁명수비대 해군이 나포한 한국케미호는 DM쉬핑 소속의 석유제품운반선(PC선)으로 나타났다.선박 추적 사이트 마린트래픽에 따르면, 2000년 일본 후코호카 조선소가 건조한 한국 케미호는 길이 146.6m, 너비 22.8m, 높이 6.8m에 재화중량 1만7420t인 선박이다. 총톤수는 97972021.01.02 14:00
국내 해운업계가 초대형 컨테이너선 도입에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 선사 HMM(옛 현대상선)이 지난해 2만4000TEU 컨테이너선을 확보하는 데 성공을 거두자 해외 글로벌 선사들도 앞다퉈 '규모의 경제'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올 한해 국내외 해운업계는 늘어나는 물동량에 대비해 '덩치 키우기'가 주요 화두가 될 전망이다.◇HMM, 2만4000 TEU 경쟁력 과시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해 HMM에 인도한 2만4000TEU 1호선 ‘알헤시라스(Algeciras)’호(號)는 초기 우려와 부러움의 시선이 뒤섞였다. HMM이 알헤시라스호를 지난해 4월 인도받기전까지 줄곧 적자 경영을 이어왔기 때문에 업계의 이러한 시선은 어찌 보면2021.01.01 14:00
한국 조선업계가 2020년 말 모잠비크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수주를 성사시킨 데 이어 2021년에도 수주 행진을 이어갈 전망이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조선업계가 추진했던 대규모 LNG 사업은 모잠비크, 카타르, 러시아 프로젝트를 꼽을 수 있다. 이 가운데 모잠비크 LNG프로젝트는 지난해 12월 마무리됐다. 모잠비크 LNG프로젝트 개발을 담당하는 업체는 프랑스 에너지업체 토탈(Total) 이다. 토탈은 모잠비크 LNG프로젝트에서 필요한 LNG운반선 물량 19척 가운데 17척을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그룹에 발주했다.삼성중공업은 지난해 12월 21~23일 LNG운반선 8척을 수주했다는 공시를 냈으며 현대중공업그룹도 같은 기간 동안 총2020.12.31 06:10
해양수산부(해수부)는 HMM(옛 현대상선), SM상선 등 국적선사들과 손잡고 수출기업 선적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미주 항로에서 운임 상승과 선적공간 부족문제가 발생해 이와 유사한 상황이 유럽, 동남아항로로 번지는 것을 막겠다는 얘기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HMM과 SM상선은 선적공간 부족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오클랜드, 캐나다 밴쿠버 등 미주 서부항로에 이달에만 임시선박 3척을 투입해 수출기업들을 지원했다. ◇ HMM, 미주 동부항로에 임시선박으로 다목적선 투입 HMM은 올해 마지막 날인 31일 국내 수출기업들의 긴급한 수요에 맞춰 부산항을 출항해 미주 동부 조지아주(州) 사바2020.12.30 16:20
올해 4월부터 2만4000TEU 컨테이너선 12척을 인도받아 흑자전환을 달성한 HMM이 내년에는 1만6000TEU 컨테이너선 8척을 인도받아 힘차게 도약한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HMM 품에 안길 1만6000TEU 컨테이너선은 현대중공업이 건조하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TEU는 컨테이너 1개 단위를 뜻한다. 즉 1만6000TEU 컨테이너선은 1만6000개 컨테이너를 선박에 실을 수 있다.배재훈(67)대표가 이끄는 HMM은 내년에 선박 8척이 모두 인도되면 HMM은 총 선복량(적재능력) 87만TEU를 확보해 선복량 기준 세계 8위를 유지한다.이에 따라 HMM은 127만TEU 선복량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 7위 대만선사 에버그린를 추격하는 발판2020.12.30 11:30
리비아 내전이 마무리 되면서 각종 원유 시설이 정상 가동돼 원유 생산량이 크게 늘어나자 내년에 원유운반선이 대량 발주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수에즈막스 급, 아프라막스 급 원유운반선 건조에 우위를 보이는 삼성중공업은 선박 수주 혜택을 받을 전망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리비아 원유생산량은 연초 하루 10만 배럴 수준에서 최근 두 달 사이 하루 120만 배럴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 같은 원유 생산량 증가는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리비아 지역에서 주로 운영되는 아프라막스 급·수에즈막스 급 원유운반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아프라막스 급은 선박 운임, 선가 등을 고려했을 때 최대2020.12.30 06:35
올해 수주 부진을 겪었던 조선3사(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가 연말 수주 잭팟을 터뜨리며 내년에 화려한 부활을 예고하고 있다. 조선업계는 올 10월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물동량 감소로 전세계에서 발주가 부진해 '수주감소' 직격탄을 맞았다. 조선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 1~10월 전세계 누계발주량은 1156만CGT로 지난해 같은 기간 누계발주량 2240만CGT와 비교해 48% 감소했다. CGT는 선박 발주·수주 물량에 부가가치를 반영해 표기한 단위다. ◇ 한국조선해양, 연말 5000억~1조 원 대 수주 행렬 이어져 조선업계는 올해 수주가 부진한 가운데 한국조선해양이 112020.12.28 11:24
대우조선해양은 국방과학연구소 부설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에서 공모한 ‘함정 통합전력시스템 제어 해석기술’ 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이 기술은 전전기함정(All Electric Ship)에 적용되는 핵심기술이다. 전전기함정은 함정에 탑재되는 모든 장비와 무기체계에 소요되는 동력을 전기로 대체한 함정을 뜻한다. 전기추진체계가 적용된 함정은 수중방사소음(함정에 탑재된 프로펠러 등 기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 제한할 수 있어 함의 생존성 확보에 유리하며 대용량의 전기를 소모하는 레일 건 등 미래무기체계와 스마트십 체계를 함정에 적용하는 데 유리하다. 대우조선해양은 한국전기연구원, 선박 기2020.12.28 11:13
하림그룹 선사 팬오션이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1척을 확보해 LNG사업 공략에 본격 나선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최근 LNG사업 진출을 공식화한 팬오션이 LNG운반선을 확보하기 위해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28일 보도했다. 팬오션은 지난 24일 LNG운반선 건조를 위해 204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다만 어떤 조선사에 LNG운반선을 발주했는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또 이달 15일 팬오션은 글로벌 석유 업체 쉘(Shell)과 장기대선계약(선박을 빌리는 계약) 2척, 총 3340억 원 규모를 체결해 LNG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대선계약을 체결한 선박은 17만4000㎥ 급 LNG운반선 2척이며 오는 2024년 9월부터 2031년 10월까지 7년2020.12.25 15:19
국내 조선사인 대우조선해양이 10억 달러(1조1035억 원) 규모의 컨테이너선을 수주했다.독일 해운사 하파크 로이트(Hapag-Lloyd,이하 하파크)는 지난 23일(현지시각) 대우조선해양에 2만3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1개)급 초대형 컨테이너선(ULCV)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하파크는 238척의 컨테이너선을 보유하고 연간 170만개를 운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독일의 해운사다. 129개국에 388개 사무실을 두고 약 1만3200명을 고용하고 있다.대우조선해양은 20피트 컨테이너 2만3000개를 11단까지 쌓아 운항할 수 있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 기술을 보유한 조선사로 LNG연료 추진방식 (LFS)에 필수적인 FGSS 특허와 자체 설계 역량을 보유하고2020.12.24 08:00
삼성중공업이 그리스 선사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2척을 수주해 연말 물량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로이터 등 외신은 삼성중공업이 그리스 선사 마란 가스(Maran Gas)로부터 LNG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고 23일 보도했다. 건조계약 금액은 총 3억6500만 달러(약 4050억 원)로 알려졌다. 선박은 17만4000m³ 규모로 건조될 예정이며 자세한 제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올해들어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가 강화된 만큼 스크러버(탈황장치),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가 설치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삼성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스마트십 시스템 ‘에스베슬(SVESSEL)’도 장착될 것으로 점쳐진다. 선박에 에스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F-21 넘어 6세대 전투기 엔진 독자 개발 착수2
테슬라 · 아이온큐 · SMCI 슈마컴 "돌연 급락"3
리플, 11억 달러 XRP 이동…서클 인수 불발 속 배경에 궁금증 증폭4
양자 컴퓨터, 최적화 난제 해결 능력 슈퍼컴퓨터 압도... '양자 우위' 현실 성큼5
리플 XRP 거래자들, 현물 ETF 승인 85% 전망에 사상 최고치 경신 기대감 증폭6
리플 XRP 급락에 1000% 청산 불균형…반등 시 3달러 돌파 가능성도7
리게티 컴퓨팅, 퀀타컴퓨터 투자 유치로 양자 컴퓨팅 협력 '날개'8
크립토타임즈 "리플 회장, 폴 앳킨스 SEC 위원장과 회동 예정"9
리플, 스테이블코인 업체 서클 40~50억 달러 규모 인수 제안...서클은 '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