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03 17:51
우리군이 2km 거리에서 적을 타격하는 유탄발사기를 장착한 드론과 '감시·정찰용' 모듈 소형화 기술을 적용한 드론을 내년부터 운용한다. 특히 유탄발사형 드론은 2축 짐벌과 반동 흡수장치로 드론의 움직임과 유탄 발사 시 충격을 상쇄할 수 있어 일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된 사격이 가능하다.해외에서는 러시아 무기 제조업체 테크마쉬(Techmash)가 쿼드롭터에 유탄발사기를 장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방위사업청(청장 강은호)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드론 구매계약을 신속시범획득 사업제도를 통해 체결했다고 밝혔다. 방사청은 이를 위해 내년 전반기 내 시범운용에 착수할 계획이다.유탄 발사 드론은 구경 40mm급 유탄 6발을2021.08.03 13:12
'하늘의 지휘소'인 E-737 조기경보통제기(AEW&C) 성능개량 사업에 국내 항공기 생산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도 성능개량 사업에 참여한다.조기경보통제기는 적의 미사일·항공기 등의 목표물을 탐지하고, 아군을 지휘·통제하는 역할을 하는 항공기다. 우리 공군은 공군은 미국 방산업체 보잉이 생산한 'E-737 피스아이' 항공통제기를 2011년 9월 1호기 인수를 시작으로 2012년 10월까지 4대를 순차 도입해 10년째 운용하고 있다. 피스아이는 한 번 뜨면 반경 5000km내 표적 1000개를 동시에 탐지한다. 한번 뜨면 한반도 상공을 나는 항공기를 손바닥 눈끔 보듯이 샅샅이 살피는 항공기다. KAI는 공군의 E-737 AEW&C 성능개량 사업 주관사인2021.07.29 16:04
방위사업청은 차량 운반이 가능하고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사격 정밀도가 향상된 81㎜ 박격포-Ⅱ의 최초 양산 물량을 군에 인도했다고 29일 밝혔다. KMS114박격포다.최초 양산물량은 전방 보병사단에 배치됐다. 방사청은 오는 2024년까지 실전 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방사청은 그러나 자세한 제원, 사정거리는 공개하지 않았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현대위아로 바뀐 기아머신툴이 1970년대 만든 KM291 81mm 박격포의 사거리는 4.6km다. 1996년 이후 생산한 KM-187의 사거리는 6.34km다.현대위아의 제품 카탈로그에 따르면, 81mm 박격포의 최대 사거리는 6.325km, 최소사거리는 75m이며 무게는 34kg이다. 포신길이는 1.55m에 무게 13.5kg, 포다2021.07.28 16:25
중국의 침공위협을 받고 있는 대만이 '항공모함 킬러(항모살수)'라는 스텔스 미사일 초계함 퉈장급 2번함 '타장'함을 27일 정식으로 인수했다. 퉈장함은 대함 공격력과 함대공 방어능력을 향상시킨 고속 초계함이어서 대만해협을 건너려는 중국 해군에게는 상당한 골칫거리가 될 수 있는 군함으로 평가된다. 더욱이 대만군은 오는 2023년까지 6척을 양산하고 이후 5척을 추가로 도입할 수 있다고 대만 언론들은 전한다.대만의 자유시보와 영어신문 타이완뉴스는 타장함이 운영 평가를 마치고 해군에 인도됐다고 27일 보도했다.대만 중앙통신(CNA)은 타장함은 8월에 취역할 것이라고 전했다.타장함은 지난해 12월15일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참석한2021.07.26 16:25
중국이 자체 개발한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 HJ-12를 실전배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출형 HJ-12E가 지난해 초 해외 구매자에게 첫 인도된 사실이 공개됐지만 중국내 배치가 확인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노동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25일 중국이 자체 개발한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 HJ-12가 티벳군사령부의 최근 훈련에서 배치된 게 확인됐다며 지난 22일 중국 남서부 고원지대 심부에서 이뤄진 훈련에서 한 병사가 어깨에 멘 사진을 공개했다.중국 상하이에 있는 매체인 '이스트데이'는 지난 23일 이 무기가 'HJ-12'라고 식별하고 중국군에 배치된 후 처음으로 공개됐다고 지적했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중국2021.07.26 10:17
미 육군의 M2 브래들리 장갑차 후속 '유·무인 복합 운용 보병전투장갑(OMFV)'차 개념설계 업체 중 하나로 선정된 미국 BAE시스템스가 렌더링을 공개해 주목을 끌고 있다. 미육군 OMFV 사업에는 한국 방산업체 한화디펜스가 미국 군용차량 업체 오시코시 디펜스(Oshkosh Defense)와 손잡고 참가하고 있다. 개념설계는 최종 완성품을 개발하기 위한 제 1단계 작업을 뜻한다. 제품의 전체 구조, 동작매커니즘, 제품의 크기 설정 등이 이 과정에 포함된다.미국 방산 전문 매체 디펜스블로그는 25일(현지시각) BAE시스템스가 자사의 OMFV 개념설계의 세부 사항을 공개했다고 전했다.BAE시스템스는 팀을 꾸린 엘빗시스템과 함께 승무원 자동화, 능동방2021.07.22 08:28
중국 방산업체가 도로 주행 트레일러에 탑재하는 컨테이너형 대공 무기 체계를 공개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민간 상업용 트레일러와 컨테이너와 뒤섞여 작전할 경우로 오폭에 따른 민간인 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방산 전문 매체 아미레커그니션닷컴에 따르면,중국의 방산업체 항천장정국제무역유한공사(ALIT)는 최근 미사일 로켓 발사 컨테이너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플랫폼은 정밀 미사일과 체공형 자살폭탄은 물론 유도 무유도 로켓을 발사할 수 있다고 아미레커그니셔닷컴은 전했다.ALIT는 중국 방산업체 항천과기집단유한공사(CASC) 계열사다.이 플랫폼은 킹칸 310 덤프 트럭 새시를 사용했다. 이 트럭은 바퀴가 전면 4개, 후2021.07.19 14:48
미국 해군이 무인수상함(USV)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 해군이 추진하는 '정복자 유령함대( Ghost Fleet Overlord ) 프로그램의 두 번째 USV인 '노마드(유랑자)'함이 멕시코만에서 캘리포니아주 웨스트코스트까지 약 8200km를 항해하는 데 성공했다.앞서 첫 번째 유령함대 함정은 지난해 10월 자율 통행시험에 성공했다. 미 해군은 현재 두 척을 건조하고 있으며 내년에 유령함대 시험에 합류할 예정으로 있다.19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유령함대 도입은 현재 2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2019년 9월 시작한 2단계는 미국 정부의 지휘통제, 무장탑재 체계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2단계는 1단계 참여 미국 정부 기관과 민간 기업, 동일2021.07.18 14:13
미사일 전문 미국 방산업체 레이시온이 미국 육군에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스팅어를 대량으로 공급한다. 스팅어 미사일은 보병 병사가 어깨에 매고 쏠 수 있으며 헬기나 육군 전술차량, 장갑차 등에 탑재해 헬기와 항공기로부터 보병을 방어하는 무기다. 근접신관을 사용한 미사일은 드론 제압능력도 갖추고 있다. 한국도 보유하고 있는 무기다.미 육군이 스팅어 미사일을 대량으로 발주한 것은 육상 부대를 가미가제식 공격을 가하는 자살폭탄 드론의 위협으로부터 부대를 보호하려는 조치로 보인다.미 육군은 지난 14일(현지시각) 레이시온과 3억2067만 달러(약 3651억여 원) 규모 스팅어 미사일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공급은 오는2021.07.14 16:55
"76대 274"일본 방위성이 13일 발간한 방위백서에 나온 북한과 남한의 3세대 이상 전투기 숫자다. 이는 미국 경제잡지가 북한이 동원할 수 있는 현대식 전투기와 폭격기를 75대로 평가한 것과 비슷하다.일본 방위성은 방위백서에서 북한의 작전기를 550대로 평가하면서 3세대와 4세대, 5세대 전투기로 미그 23 56대, 미그 29 18대 등 총 74대라고 명시했다. 반면, 한국은 작전기 640대이며 이중 스텔스 전투기 F-35 24대, 전폭기 F-15 59대, F-16 162대, F-4 30대 등 3세대와 4세대, 5세대 전투기가 274대라고 집계했다. 한국 작전기의 약 40%가 3~5세대 전투기인 셈이다.이는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지난달 22일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2021.07.13 08:12
드론의 진화가 끝이 없다. 초소형에 '나노 드론' 블랙호넷에서 초대형 글로벌호크에 이르기까지 다종다양하다. 무인 헬기에서부터 프로펠러가 4개, 6개, 8개가 달린 드론까지 다종다양하다. 최근에는 손으로 날리거나 구경 40mm 유탄발사기로 쏠 수 있는 드론이 등장했다.바로 드론40이다. 영국 육군에 이어 미국 해병대가 도입해 훈련하는 모습이 공개됐다.군사 전문 매체 더드라이브(The Drive)는 지난 7일 노스캐롤라이나조 캠프 르준 미 해병대 기지에서 해병 2사단 2연대 1대대가 드론 40을 테스트했다고 9일 전했다. 이 드론은 구경 40mm 유탄발사기로 쏘거나 손으로 날릴 수 있는 소형 드론이다. 카메라를 장착하면 최전방 감시 드론이2021.07.08 16:03
터키가 중고도 장시간 체공 드론인 바이락타르 TB2드론(무인기) 수출시장에서 대박 행진을 벌이고 있다. 폴란드에 이어 알바니아에도 수출되는 개가를 올렸다. 바이락타르 TB2는 터키 대통령의 사위인 셀축 바이락타르가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있는 바이카르가 개발, 제조한 무장 전술 드론이다.8일 방산 전문 매체 디펜스블로그와 에어레크거니션닷컴 등에 따르면,동유럽의 알바니아는 바이락타르 TB-2 구매국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알바니아는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카타르, 아제르바이젠에 이어 다섯 번째 해외 수입국이 된다. 바이락타르 TB는 터키 민간 방산회사 '바이카르'가 개발, 제조한 전술 무장 무인기다. 바이카르는 칼레그룹과 바2021.07.05 22:07
우리 해군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능력 확보에 한 걸음 다가섰다.지난해 지상사출 시험에 이어 최근 수중 사출시험에 성공했다는 국내외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실상 세계 8번째 SLBM 개발 국가에 등극할 나도 머지 않아 보인다.글로벌 해군 전문 매체 네이벌뉴스는 4일(현지시각) 한국 해군이 지난주 수중 바지선에서 SLBM 사출시험을 처음으로 벌였다고 보도했다.이게 사실이라면 한국은 세계 8번째로 SLBM 기술을 보유한 국가가 된다. 북한은 7번째 국가로 알려져 있다.더욱이 지금까지 SLBM 기술을 확보한 국가는 모두 전략 핵 무기를 보유한 국가였다. 한국은 역사상 처음으로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은 국가로서 SLBM1
2026년 대세 될 양자 컴퓨팅 '억 소리' 날 주식 5종목2
리플, 2억 5,000만 XRP 대규모 이체로 시장 변동성 촉발3
리플 XRP, 美 SEC·CFTC 디지털 자산 공동 규제 호재로 '신바람'4
모건스탠리, 리플을 SWIFT 대체할 국제 결제 시스템 유력 대안 평가5
리플, XRP 레저에 '자격 증명 개정안' 적용... 기관 금융 도입 가속화6
연준 FOMC 빅컷 금리인하7
OPEC 원유 대규모 증산 "국제유가 CPI 물가 발표"8
구윤철 부총리 "오늘 주택공급대책 발표"9
현대로템·삼양컴텍, 튀르키예 알타이 전차 양산 핵심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