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19일(현지시각) 미국의 온라인 금융정보 플랫폼 머니와이즈에 따르면 시프 유로퍼시픽자산운용 창업자가 지난 주말 X를 통해 “이번 합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승리가 될 수 없다”며 “중국은 아무것도 동의하지 않았고 미국이 부과한 145%의 관세는 30%로 낮아졌으며 중국의 보복관세도 10% 수준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시프는 이어 “우리가 시작한 전쟁을 단지 멈추기로 합의한 것뿐”이라며 “이 전쟁에서 미국은 단 한 번도 이긴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과 중국은 상호 관세율을 대폭 낮추는 90일간의 ‘관세 정전’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시프를 포함한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합의가 실질적인 성과 없이 미국의 후퇴만 초래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부 장관도 X에서 “결국 눈을 깐(양보한) 쪽은 트럼프 대통령”이라며 “우리는 이 정책을 무기한 유지하겠다고 했지만 중국은 정책을 바꾸지 않았다. 가끔은 물러나는 게 낫다”고 말했다.
이번 협상 결과에 대한 비판은 단순한 자존심 문제를 넘어 실질적인 경제 여파로도 이어지고 있다. 예일대 산하 ‘더버짓랩’에 따르면 미국이 부과한 평균 유효관세율은 17.8%로 1934년 이후 최고치다.
이에 따라 2025년 현재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7%포인트 하락하고 실업률은 0.35%포인트 상승하며 물가 수준은 단기간에 1.7% 오를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평균 가계 기준으로 연간 2800달러(약 382만원)의 실질 소비여력 손실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팬테온 매크로이코노믹스의 사무엘 톰브스 미국 담당 이코노미스트 분석을 인용해 “이같은 관세 효과가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에 1%가량 상승 압력을 줄 수 있다”며 “이에 따라 미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더 오래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전했다.
머니와이즈는 “이번 협상은 단지 일시적 휴전일 뿐이고 장기적인 불확실성은 해소되지 않았다”며 “가계 소비 계획에도 일정 수준의 안전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경기민감주 매수세에 반등...TOPIX는 사...](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013155004684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