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IFRS17 1년 실적 착시②] M&A 매물 고평가 논란… 원매자 찾기 올해도 ‘난항’

공유
0

[IFRS17 1년 실적 착시②] M&A 매물 고평가 논란… 원매자 찾기 올해도 ‘난항’

보험사 회계제도 변경 이후 ‘호실적’ 행진…실적 착시 지속
전문가, 정확한 비교 위해 “공통된 계리적 기준 마련해야”

보험사들의 실적 착시가 지속되면서 매물로 나온 보험사들이 원매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이미지 확대보기
보험사들의 실적 착시가 지속되면서 매물로 나온 보험사들이 원매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보험사 매물이 쏟아지는 가운데 지난해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에 따른 실적 착시로 ‘제값’ 받기가 더 까다로워질 전망이다.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거론되는 BNP파리바카디프생명과 MG손해보험, KDB생명, ABL생명, 동양생명, 롯데손해보험 등 6개사는 장기간 원매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보험 업황과 경기 악화뿐 아니라 작년 새 회계기준 도입 이후 실적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M&A는 진척을 보지 못하는 상황이다.

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M&A 시장에 매물로 나오거나 거론되는 보험사는 BNP파리바카디프생명과 MG손해보험, KDB생명, ABL생명, 동양생명, 롯데손해보험 등 6개사다. 보험사 매물은 최근 수년간 계속해서 쌓이고 있지만, 업황과 경기 악화로 인해 원매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작년 새 회계기준 도입 이후 실적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M&A는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우선 실적만 보면 보험업계는 지난해 새 회계제도 시행 이후 역대급 호황을 누리고 있다. 먼저 실적을 발표한 보험사들의 실적을 보면 DGB생명은 지난해 641억원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실적이 무려 202.4% 개선했다. KB라이프생명은 지난해 당기순이익도 전년 대비 88.7% 증가한 2562억원, KB손해보험 역시 1년 전보다 35.1% 대폭 개선된 7529억원을 기록했다.

생명보험업계 1위인 삼성생명은 지난해 잠정 순이익(연결)기준으로 ‘2조 클럽’에 입성했다. 순익이 1년 만에 18.2% 늘면서 시장 예상치(1조9401억원)를 훌쩍 뛰어넘었다. 한화생명의 순익은 전년 대비 1.2% 늘어난 826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화재의 지난해 잠정 순이익(연결)은 1조8216억원으로 전년 대비 41.9% 늘었지만 시장 전망치(2조1388억원)보다는 낮았다.

DB손해보험은 같은 기간 당기순익이 9889억원에서 1조7494억원으로 77.1% 급증했다. 이는 올 초 시장 전망치(1조5957억원)를 1500억원 이상 뛰어넘는 수치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보험사의 가치와 실적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채도 시가로 평가하는 새 회계제도 체제에서 예상과 달리 보험사의 가치가 부풀려졌다며 분기마다 역대급 이익을 경신하는 보험사를 향한 의구심이 커졌기 때문이다. 보험사의 자산과 이익이 늘어날 때마다 매물로 거론되는 보험사들의 몸값도 비싸졌다.

현재 매각이 진행 중인 롯데손해보험도 기업가치를 두고 원매자와 줄다리기가 팽팽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롯데손보의 매각가는 1조5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경영권 프리미엄을 합산해 2조원이 넘는 매각가는 과하다고 보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롯데손보의 지난해 상반기 시장 점유율은 5% 남짓의 중소형사다.
지난해 11월에는 ABL생명 인수를 검토해왔던 국내 PEF 운용사 오션프론트파트너스가 투자를 철회하기도 했다.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하려고 했던 BNK금융지주가 인수 계획을 철회하면서 동력도 잃었다. 앞서 금융당국은 ‘실적 착시’를 불식하기 위해 당기순익과 순익 지표인 ‘CSM(계약서비스마진) 산출 가이드라인’을 보험사에 제시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새 회계제도 기준에서 실적 왜곡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계리적 가정에 대한 업계 공통의 기준을 요구한다. 보험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정확한 계리를 위해선) 할인율에 대한 현실화 방안과 신계약비 중 부채 현금흐름에 포함되는 직접비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할 수 있다”며 “안정적인 보험계약마진 확보, 예실차 비율 축소 및 회사별 비교가능성 증대와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계리적 가정에 대한 업계 공통의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