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 국제해저기구 사무총장, 해저 채굴은 시간문제가 됐다고 밝혀

로지 총장은 “지상에서 핵심 광물을 채굴하는 것보다 해저에서 더 많은 양의 광물을 더 싼 가격으로 채굴할 수 있는 잠재력으로 인해 산업계가 깊은 관심을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상업적인 동인과 해저광물의 광범위한 잠재성이 분명히 있다”면서 “문제는 채산성이 있을 것인가이다”라고 말했다.
로지 총장은 “잠재성이 있고, 관련 기술도 발전했기에 분명히 이것(심해 광물 채굴)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광물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 이 수요가 갈수록 더 늘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지 총장은 ISA가 다음 달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처음으로 심해 광물 채굴 문제를 논의하기에 앞서 이같이 발언했다. ISA는 이번 회의에서 심해 광물 채굴에 관한 규정을 마련할 예정이고, 이렇게 되면 상업적인 규모로 해저광물 채굴이 추진될 수 있다고 이 방송이 보도했다.
그러나 ISA 회원국들은 심해 광물 채굴을 놓고 팽팽히 대립하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는 심해 광물 채굴에 적극적이다. 하지만 프랑스, 독일, 칠레 등은 명확한 관련 연구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분별한 채굴로 인해 생태계에 중요한 서식지와 종을 파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채굴에 반대한다.
ISA는 지난해에 심해 광물 채굴을 허용할지 올해 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태평양의 클라리온 클리퍼톤 존(CCZ, Clarion Clipperton Zone)에 대한 상업적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 유엔 산하 해양 규제기관인 ISA가 지난해 7월 10∼21일 36개 이사국 이사회 회의와 24∼28일 회원국(유럽연합 포함 168개국) 총회를 열어 2024년까지 채굴을 위한 법적 틀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ISA는 잠정적으로 2025년에 심해 광물 개발에 필요한 국제적인 규정을 확정할 계획이다.
노르웨이 의회는 지난달 9일 국내외적인 논란에도 영해 내 심해 광물자원에 대한 탐사와 채굴을 세계에서 최초로 승인했다. 노르웨이 의회는 정부가 신청한 노르웨이 대륙붕에 있는 약 28만1000㎢에 달하는 북극 해저 지역에 대한 광물 탐사와 채취를 허용했다. 노르웨이가 탐사를 허용한 지역은 독일 육지 면적의 80% 정도에 달하고, 영국보다도 큰 규모다. 노르웨이는 지난해 영해 내 해저에서 풍력 설비와 전기자동차 배터리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막대한 양의 광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등은 노르웨이의 결정에 강력히 반발했다. 유럽연합(EU) 정치인 100여 명은 지난해 11월 노르웨이 의회에 보낸 공개서한을 통해 해저 광물자원 채굴 반대 입장을 전달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