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머스크와 만남, 전기차 성장의 '악재' 풀지 못해

공유
3

트럼프·머스크와 만남, 전기차 성장의 '악재' 풀지 못해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트럼프가 머스크와 만났다.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트럼프가 머스크와 만났다. 사진=로이터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전기차는 이제 단순 이동 수단을 넘어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서게 됐다.

12일(현지 시간) 비지니스인사이더는 지난 6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머스크 만남은 전기차에 대한 차이를 뚜렷하게 드러냈다고 전했다.
공화당의 절대적 지지를 받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기차나 테슬라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 입장이지만, 바이든 행정부의 전기차 의무화에 대해 '미친 짓'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트럼프는 "전기차 생산은 전적으로 찬성한다"라면서도 "미국 전력망 상태로 볼 때 단기적으로 순수 전기차의 미래가 비현실적이다"라며 '쓸모없는 재앙'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전기차의 단점으로 미국의 전력망 상태와 더불어 전기차가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이런 견해는 공화당 열성 지지자를 비롯한 일부 소비자들에게 전기차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최근 판매가 주춤한 전기차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중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는 최근 몇 년 동안 머스크에 대한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트럼프는 재임 당시 기술 억만장자가 백악관에 와서 '주행 거리가 충분하지 않은 전기차'와 '충돌하는 무인 자동차', '어디에도 없는 로켓 우주선' 등을 포함해 많은 보조금 프로젝트에 도움을 요청했다고 밝히며 "(당시) 무릎 꿇고 구걸하면 된다고 말할 수 있었고, 그는 그렇게 했을 것"이라고 비아냥거렸다.

최근 머스크와의 만남을 공개한 트럼프는 "이 만남이 자신의 생각을 바꿀 수 없었다"라며 "머스크의 전기 자동차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 역시 트럼프를 만난 후 “미국 대통령 후보 중 누구에게도 돈을 기부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머스크가 트럼프 전 대통령 측에 선거 자금을 기부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해명하는 차원의 언급으로 풀이되기도 하지만, 선을 그은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머스크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두 차례 대통령 자문위원회에서 활동했으나 트럼프가 미국을 파리기후협약에서 탈퇴하자 사임한 바 있다.

머스크는 이전에 트럼프가 석유 및 가스 산업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대통령 재임 동안 테슬라와 같은 전기차 제조업체에 대한 지원이 제한되었다고 보고 있다.

테슬라는 최근 중국 판매 부진과 독일 공장 화재 사고 등으로 주가가 폭락하는 등 힘겨운 상황에 놓여 있는 가운데, 두 사람의 만남이 만약 트럼프가 집권해도 향후 미국에서 전기차 지원 정책이 사라지지 않을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 시장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트럼프와 머스크의 전기차에 대한 상반된 견해는 전기차 시장이 가파른 상승세를 당장은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기차 산업 지원에 부정적인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수요 확대에 영향을 줄 각종 인프라 지원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이에, 연관 기업은 트럼프가 집권할 경우, 전기차 지원 정책 축소로 각종 투자가 자칫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보고 배터리 기술, 충전 인프라 등 전기차 관련 투자를 빠른 속도로 진행하기보다 정치적 상황 변화를 지켜보며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기차의 증가는 석유 소비 감소와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는 믿음이 여전하고, 테슬라를 비롯한 중국, 유럽의 전기차 기업들이 계속 투자와 혁신을 거듭하고 있어, 전기차 시장 자체가 커질 경우, 트럼프 역시 이를 마냥 비난만 하거나 지원을 축소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결론적으로, 전기차 시장은 여전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정치적 견해의 차이는 시장의 미래에 불확실성을 더해 전기차 산업의 단기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전망이다. 지금 전기차 시장의 성공 여부는 미국 유권자들의 정치적인 선택과 글로벌 소비자의 수용도에 크게 의존하는 국면으로 흘러가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