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금융사 vs 네카토 전쟁②] 美·日 금융사 ‘빅테크’ 인수해 성장… 韓은 M&A 규제 '답보'

공유
0

[금융사 vs 네카토 전쟁②] 美·日 금융사 ‘빅테크’ 인수해 성장… 韓은 M&A 규제 '답보'

M&A 자유로운 ‘美’ 유니콘만 59개社…韓과 59배 격차
금산분리 철폐 세계적 추세에도 韓만 골목상권 침해 ‘우려’

글로벌 시장에서 금융권의 빅테크·핀테크 M&A 사례가 활발한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금산분리 규제로 인해 경쟁력 강화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 시장에서 금융권의 빅테크·핀테크 M&A 사례가 활발한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금산분리 규제로 인해 경쟁력 강화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

미국·일본 등 주요국 금융회사들이 ‘빅테크·핀테크’ 인수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금산분리 등 인수합병(M&A) 규제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M&A가 막혀 있다 보니 다른 나라보다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이 늦고, 핀테크 업체들의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성장도 제한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금융시장 발전을 위해 금산분리 등 주요 규제를 철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등 주요국은 금융사의 ‘빅테크·핀테크’ M&A, 스타트업의 신사업이 활발하지만 우리나라는 규제에 막혀 고전하고 있다.

미국 기업분석회사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기준 글로벌 100대 유니콘 기업의 국가별 비중은 미국이 59개사로 가장 많고 중국 12개, 영국 7개, 인도 6개, 독일 3개, 캐나다 2개, 이스라엘 2개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우리나라는 ‘토스’ 단 한 개 기업만 포함됐다.

우리나라에서 유니콘 기업 등장이 더딘 배경은 금융사의 비금융업 진출을 허용하는 ‘금산분리’(금융·산업자본 분리) 규제가 견고하기 때문이다. 현재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르면 금융지주회사는 자회사가 아닌 회사 지분을 5% 초과해 보유할 수 없다.

당초 금융당국은 8월 말 금융회사에 비금융업 진출을 허용하는 방향의 금산분리 완화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골목상권 침해 우려, 잇따른 은행권 대형 사고 등으로 무기한 연기된 상황이다. 금융과 산업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빅블러’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금융사의 핀테크 M&A는 세계적인 추세다. 글로벌 금융회사는 핀테크 인수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미국 투자은행(IB)인 골드만삭스 사례가 대표적이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2015년 소매금융 플랫폼인 ‘마커스’의 고도화를 위해 당시 제너럴일렉트릭(GE)의 온라인뱅킹을 160억 달러에 인수했다. 골드만삭스는 마커스 고도화를 위해 2016년부터 재작년까지 개인연금 관련 핀테크인 ‘아니스트 달러’와 중소기업 대출 플랫폼 ‘본드 스트릿’ 등 4개 핀테크 기업을 연이어 사들였다.

마커스는 2016년 출시 당시 고객 수가 약 20만 명에 불과했지만 2019년 500만 명, 2021년 1000만 명을 돌파해 작년 3월 말 기준 1300만 명을 달성했다. 수신 규모는 출시 당시 120억 달러에서 2021년 1100억 달러로, 같은 기간 대출 규모가 2억 달러에서 120억 달러로 급성장했다.

이웃 국가인 일본 역시 지난 2016년 이후 은행과 은행 자회사 및 계열사의 업무 범위에 대한 규제를 풀고, 비은행 진출을 폭넓게 허용하고 있다. 일본 금융회사인 미쓰이스미토모파이낸셜그룹(SMFG)은 중소·중견기업이 일반 경영 업무에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업 대상 디지털 비즈니스’를 확대하며 기업금융 솔루션을 강화했다.

그 결과 일본 3대 금융그룹 중 중소기업 대출이 최대 폭 증가하고,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은 중소기업을 위한 일본 최고의 은행으로 선정됐다. KB경영연구소는 “일본 시중은행의 비금융 사업 진출은 당장의 수익 확대 목적보다는 거래 기업의 지속가능 성장 지원을 통해 유대관계를 강화해 은행 및 계열사의 동반 성장을 도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소개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도 올해 초 낸 보고서를 통해 “우리와 환경이 비슷한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것도 괜찮다고 본다”며 “특히 급격히 고령화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해 요양사업 같은 곳에 진출한다면 은행만이 갖고 있는 ‘신뢰자본’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언한 바 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