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14:55
인공지능(AI) 시대의 최대 수혜주로 꼽히는 대만 TSMC에 세계 투자 자금이 급격히 쏠리고 있다. AI 반도체 수요 폭증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미국 시장에 상장된 TSMC 주식예탁증서(ADR)의 프리미엄이 23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TSMC가 2025년과 2026년에도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산업을 이끌며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굳건한 믿음이 반영된 결과다. 15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TSMC의 ADR은 50일 이동평균 기준으로 대만 타이베이 증시에 상장된 본주(普通株)에 견줘 2002년 이래 가장 높은 프리미엄에 거래되고 있다. 올해 들어 TSMC ADR은 50% 올랐으며, 같은 기간 대만 현지 주가는 36% 오2025.10.16 14:21
블랙록과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를 포함한 글로벌 투자 컨소시엄이 400억 달러(약 56조 8000억 원) 규모로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가운데 하나인 얼라인드 데이터 센터스(Aligned Data Centers)를 인수하며 AI 인프라 구축에 본격 나섰다.멕시코 비즈니스 뉴스가 지난 15일(현지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이번 인수는 지난해 설립된 AI 인프라 파트너십(AI Infrastructure Partnership)의 첫 대규모 투자로, 아부다비 국부펀드 MGX와 일론 머스크의 스타트업 xAI도 투자에 참여했다.래리 핑크 블랙록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투자를 두고 "AI 미래를 구동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목표를 더욱 진전시킬 것"이라고 말했2025.10.16 14:15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던 미·중 무역 갈등이 '희토류'라는 새로운 전선에서 격돌하고 있다. 중국이 세계 희토류 매장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전략 자산인 희토류의 수출 통제 카드를 꺼내 들자, 미국은 고율 관세의 '휴전'을 연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카드를 내놨다. 오는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양국이 치열한 수싸움에 돌입하면서 위태로운 무역 휴전의 앞날이 중대 기로에 섰다. 15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워싱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 계획을 중단한다면 현재 진행 중인 대중국 관세 부과 유예 조치를 3개월 이상으로2025.10.16 11:11
최근 함경북도 혜산에서 토요타 캠리·BYD 전기차·트랙터 등 중국산 차량 수백 대가 무면허·무번호 상태로 대거 밀반입된 정황이 파악됐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로 2017년부터 차량 수출이 전면 금지된 뒤 2024년부터 정부 주도 ‘국가 밀수’가 재개됐으며, 특히 지난 8월 이후 중국 당국의 단속이 현저히 느슨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각) 아시아프레스가 현지 제보자 진술과 초망원 렌즈 촬영을 통해 확인했다고 보도했다.제재 뒤 밀수 재편성…‘국가 밀수’ 돌아오다안보리는 2017년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이유로 제재 강화를 결의하며 차량 수출을 전면 금지했다. 중국의 공식 무역통계에도 대북 차량2025.10.16 10:55
미 국방부가 괌에 80억 달러(약 11조3400억 원)를 투입해 태평양 전략 거점을 대대적으로 보강한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이 사업은 2030년대 중반까지 괌 전역 16곳에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설치해 중국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DF-26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다.360도 방어망 구축 추진WSJ에 따르면 미군은 던포드 기지 인근에서 하부층 방공 레이더(Lower Tier Air and Missile Defense Sensor)를 시험 운용 중이다. 이 레이더는 전 방향 위협 탐지가 가능하며, 요격 미사일과 전투 관리 체계를 연계해 괌을 둘러싼 방어망을 완성한다. 태스크포스 탈론 사령관 존 스태퍼드 중령은 “최신 기술을 집중적으로 투입해2025.10.16 10:51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심해지는 가운데, 중국이 첨단 산업의 '혈액'으로 통하는 희토류 통제 고삐를 다시 한번 바짝 죄었다. 반도체를 포함한 세계 첨단 기술 공급망의 핵심 기업인 대만 폭스콘은 단기 영향은 없다면서도, 사태가 악화하면 산업계 전반에 미칠 파장을 경고하며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이러한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도 폭스콘은 인공지능(AI)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 잠재력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기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의 정체성을 넘어 AI 기반시설(인프라) 종합 기업으로 변신을 서두르며 정면 돌파에 나섰다고 IT 전문 매체 디지타임스가 15일(현지시각) 보도했다.지난 10월 9일 중국 상무부는 제61호와 제2025.10.16 10:25
블랙록과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를 포함한 글로벌 투자 컨소시엄이 400억 달러(약 56조8000억 원) 규모로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가운데 하나인 얼라인드 데이터 센터스(Aligned Data Centers)를 인수하며 AI 인프라 구축에 본격 나섰다.멕시코 비즈니스 뉴스가 지난 15일(현지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이번 인수는 지난해 설립된 AI 인프라 파트너십(AI Infrastructure Partnership)의 첫 대규모 투자로, 아부다비 국부펀드 MGX와 일론 머스크의 스타트업 xAI도 투자에 참여했다.래리 핑크 블랙록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투자를 두고 "AI 미래를 구동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목표를 더욱 진전시킬 것"이라고 말했2025.10.16 10:23
'소프트웨어의 제국' 구글이 폴더블폰 시장에서 다시 한 번 좌절을 맛봤다. 신제품 '픽셀 10 프로 폴드(Pixel 10 Pro Fold)'가 공개 내구성 시험 중 부서지고 내부 배터리가 폭발하면서, 하드웨어 신뢰성 논란이 불붙었다. 반면 삼성전자의 '갤럭시 Z 폴드7'은 같은 시험을 무사히 통과하며 기술력의 격차를 뚜렷하게 보여줬다.폴더블 시장의 주도권이 다시 한 번 '신뢰성'이라는 단어 위에서 갈렸다.공개 시험 중 폭발…'강화된 힌지'의 허상사건은 15일(현지시각) IT 기기 내구성 테스트로 유명한 유튜브 채널 '제리릭에브리씽(JerryRigEverything)'에서 벌어졌다. 진행자 잭 넬슨(Jack Nelson)이 픽셀 10 프로 폴드를 뒤로 꺾는 굽힘 시험을 진2025.10.16 10:10
SK텔레콤(대표이사 유영상)이 우리 군 무인기의 작전 반경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통신중계 드론’ 개발에 본격 나섰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각) 넥스트젠 디펜스가 전했다.SK텔레콤은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 등 4개 기술기업과 지난 15일 서울 남산 본사에서 업무 협약을 맺고, 상용망의 저주파 주파수, 인공지능(AI), 위성 통신 기술을 결합해 군 통신망의 한계를 극복하겠다고 밝혔다.AI·엣지 기술로 드론 간 통신 개선SK텔레콤은 지난 15일 펀진,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 등 네 개 기술 기업과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펀진은 드론 무선 품질 측정과 AI 통신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코난테크놀로지는 빠른 데2025.10.16 10:05
세계 전기차 시장이 숨 고르기에 들어간 가운데, 현대자동차가 세계 3대 자동차 시장으로 떠오른 인도에서 미래 성장을 좌우할 중대 전략의 방향을 틀었다. 완전 전기차(EV) 중심의 전동화 계획에서 한발 물러나 하이브리드차를 앞세우는 '투트랙(Two-track)' 전략으로 돌아선 것이다. 현대차의 이번 결정은 거대한 잠재력과 충전 기반시설 부족이라는 뚜렷한 한계를 함께 지닌 인도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현실적 대안이자, 수익성 위주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겠다는 의지로 읽힌다.16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지난 15일 인도 뭄바이에서 연 첫 '투자자의 날(Investor Day)' 행사에서 이번 전략2025.10.16 09:57
이라크가 도입하는 28억 달러(약 3조9700억원) 규모 한국산 중거리 방공미사일 시스템 KM-SAM이 이스라엘-이란 갈등에서 이라크 영공 통제를 둘러싼 새로운 지정학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동 전문매체 '더 뉴 아랍(The New Arab)'은 지난 15일(현지시각) 이라크 KM-SAM 도입이 앞으로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작전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보도했다.2026년 초 실전 배치...기존 방공망 대폭 개선이라크군은 지난 9월 한국에서 구매한 KM-SAM을 내년 초 운용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이번 도입으로 이라크가 보유한 미국산 중단거리 AN/TWQ-1 어벤저와 러시아산 팬치르-S1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개선된다.발표 직후 카심 알 아라지 이라크 국가안2025.10.16 09:53
프랑스 사회가 부유층 증세를 둘러싼 해묵은 논쟁으로 다시 뜨거워지는 가운데, 세계 최대 명품 기업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베르나르 아르노 총괄회장이 하루 만에 26조 원에 이르는 막대한 부를 추가로 쌓아 논란의 중심에 섰다. LVMH의 깜짝 실적 발표가 주가 급등으로 이어지며 그의 자산이 천문학적으로 불어났고, 프랑스 정치권의 '부유세' 도입 논의에 기름을 부은 셈이 됐다.16일(현지시각)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를 보면, 아르노 회장의 개인 자산은 지난 15일 단 하루 동안 190억 달러(약 26조 원) 폭증해 총 1920억 달러(약 272조 원)에 이르렀다. 올해 76세인 아르노 회장에게는 역대 두 번째로 큰 하루 자산 상승폭이다. LVMH2025.10.16 08:09
한국 바이오 기업 CGBIO가 지원하는 발리 누룩클리닉(Nulook Clinic)이 한국형 의료 시스템과 K-뷰티 기술을 도입해 의료관광 중심지로 자리매김을 노리고 있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 매체 마나도포스트가 전했다.혁신적 재생의학 플랫폼 ‘Cellunit’ 현지 적용누룩클리닉은 CGBIO가 자체 개발한 줄기세포 자동처리 플랫폼 ‘셀 유닛’(Cellunit)을 활용해 피부 세포 재생 치료를 제공한다. 셀 유닛은 환자 피부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자동으로 분리·정제해 안전성을 높이고, 짧은 시간 안에 치료용 세포를 준비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또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은 필러 ‘DCLASSY HA’, 콜라겐 부스터 ‘DCLASSY CaH1
전 세계 금 매장량 6만4000t…21만6000t 이미 채굴
2
뉴욕증시 비트코인 돌연 "하락 반전" ... 파월 기자회견 충격
3
엔비디아 마침내 5조달러 "뉴욕증시 양자컴 폭발".
4
엔비디아 핵심 파트너 아이온큐·리게티 주가 6%대 폭등
5
"리플 XRP, 단순 투기 자산 넘어 글로벌 금융 인프라 핵심 부상"
6
리플, '빅딜'로 월스트리트 직행…블랙록도 움직인다
7
리플 트러스트 뱅크, 마침내 OCC 인가 받나...XRP 기대감 증폭
8
전 세계 관심사로 부상한 한화오션 잠수함 제조역량...카니 총리 30일 거제 조선소 방문
9
젠슨황·이재용·정의선 강남서 치맥회동…발표 하루전 막판 조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