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05 22:07
우리 해군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능력 확보에 한 걸음 다가섰다.지난해 지상사출 시험에 이어 최근 수중 사출시험에 성공했다는 국내외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실상 세계 8번째 SLBM 개발 국가에 등극할 나도 머지 않아 보인다.글로벌 해군 전문 매체 네이벌뉴스는 4일(현지시각) 한국 해군이 지난주 수중 바지선에서 SLBM 사출시험을 처음으로 벌였다고 보도했다.이게 사실이라면 한국은 세계 8번째로 SLBM 기술을 보유한 국가가 된다. 북한은 7번째 국가로 알려져 있다.더욱이 지금까지 SLBM 기술을 확보한 국가는 모두 전략 핵 무기를 보유한 국가였다. 한국은 역사상 처음으로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은 국가로서 SLBM2021.07.03 13:22
이스라엘 방산업체 라파엘 첨단 방산체계(이하 라파엘)은 지난달 30일 5세대 장거리 인공지능(AI) 탑재 정밀 유도 미사일을 공개해 주목을 끌었다. 바로 '시 브레이커(Sea Breaker)가 주인공이다.이 미사일은 고가치 해상과 육성 표적을 파괴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미사일이다. 오늘날 전 세계는 주요 자산을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시키고 강화 콘크리트 시설로 방어하며 여기에 지대공 미사일 체계로 단단한 대공방어망을 구축해놓고 있다.이에 따라 사거리가 짧은 야포로 공격하거나 전투기를 보내 폭격해 파괴하는 일은 쉽지 않다. 지대함·지대공·공대지·공대함 미사일 등 촘촘한 미사일 방어망으로 구성된 반접근지역거부(A2AD)2021.06.26 00:00
미국이 필리핀에 F-16V 바이퍼 전투기와 공대공 미사일 판매를 승인했다. 필리핀은 현재 한국의 경공격기인 FA-50 12대를 주력 전투기로 운용하고 있다. F-16전투기가 가세한다면 남중국해를 안마당으로 삼으려는 중국 해군과 공군에 대한 필리핀군의 억지력이 한층 더 높아질 전망이다. 25일 군사 전문 매체 제인스와 플라이트글로벌 등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는 록히드마틴의 F-16 블록 70/72 전투기 12대와 공대공 미사일, 공대함 미사일 판매를 승인했다.미국 국방부 산하 안보협력국(DSCA)에 따르면, 미국이 필리핀에 판매를 승인한 전투기는 F-16D 블록 70 단좌형 10대, F-16V 블록 72 복좌형 2대, 미국 레이시온제 사이드와인더 AIM-9X 블2021.06.25 17:49
러시아가 흑해에서 자국 영해를 침범한 영국 군함에 경고 사격을 하고 전투기 폭탄을 투하했다고 주장하고 영국이 이를 "사실 무근"이라고 맞서면서 이 군함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군함은 미국 주도로 러시아가 병합한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앞바다에서 열리고 있는 해군 훈련에 참가하는 영국 해군의 '디펜더'함이다.만약 러시아 공군기가 투하한 폭탄이 명중했다면 침몰했을 수도 있는데도 강력한 방공능력을 가진 디펜더함이 가만히 있어 러시아 측의 주장은 설득력이 낮아 보인다.미국의소리방송(VOA) 등에 따르면, 미국을 비롯한 서방권 국가들은 28일부터 내달 10일까지 흑해에서 우크라이나 등 32개국의 병력 5000명과 함정 32척, 항공2021.06.24 00:00
대전차 공격력을 강화하고 있는 미 해병대가 자폭형(自爆型) 무인기(킬러 드론)으로 이스라엘 방산업체 유비전(UVision)의 자폭형 드론 '히어로-120'을 선정했다. 장거리 비행하는 순항미사일의 타격능력과 무인기(드론)의 체공능력을 혼합한 무기다. 카미카제식 공격을 하는 자폭무인기인 셈이다.유비전은 미국 파트너인 미스트랄(Mistral)이 히어로-120을 해병대에 공급하는 계약을 수주했다고 지난 21일(현지시각) 발표했다.공급 수량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 무기는 미해병대가 추진하는 유기적정밀타격화력차량탑재(Organic Precision Fire - Mounted)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도입된다 다.히어로-120은 8륜형 장갑차인 LAV-M과 4륜 다목적 장갑2021.06.23 10:07
일본 해상자위대의 신형 모가미급 호위함(30FFM) 3번함을 진수했다. 지난 3월 1번함을 진수했는데 불과 3개월여 만에 3번함을 진수한 것이다. 일본해상자위대는 총 22척의 FFM을 보유하기로 하는 등 수상전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일본 해상자위대는 이지스 호위함 8척 등 강력한 수상 함정 전력을 갖추고 있지만 중국군의 수상전력 증강에 대응해 노후 호위함을 대체하면서 전력을 증강하고 있다. 신형호위함은 일본 주변 해상 초계, 낙도 방어,해외 배치 등의 임무를 수행할 예정으로 있다. 일본 방위성 해상자위대는 22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위터에 미쓰비시(三菱)중공업 나가사키(長崎) 조선소에서 모가미(もがみ)급 3번함 노시로2021.06.21 16:58
미극 해군이 최신예 항공모함 제럴드 포드함의 바로 옆에서 약 18t의 폭탄을 터뜨리는 내구성을 실험을 벌였다. 내년에 실전배치할 제럴드 포드함은 폭발로 발생한 규모 3.9의 지진 충격을 견뎌냈다.미 해군연구소뉴스(USNI)와 ABC뉴스 등 미국 언론들은 미 해군이 지난 18일(현지 시각) 오후 4시쯤 미국 플로리다주 해안에서 약 161km 떨어진 해상에서 제럴드 포드함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선체 최대 충격시험(FSST)'을 벌였다고 20일 전했다.2017년 취역한 제럴드포드함은 길이 333m, 너비 77m, 높이 76m, 흘수 12m, 만재배수량 약 10만t의 초대형 군함이다. 원자로 덕분에 최고 시속 30노트(시속 56km) 이상의 속도를 낸다. 항공기 75대 이상을2021.06.19 08:51
토르(Thor)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천둥과 전쟁, 농업을 주관하는 신이다.이스라엘 방위군(IDF)은 토르를 숨은 표적을 수색, 공격하는 군집 드론의 이름으로 정했다.안성맞춤인 이름이다. 앞으로 전투 양상을 완전히 바꾸어놓을주인공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군사 전문 매체 디펜스업데이트에 따르면,IDF는 최근 15일간 이어진 가자지구 교전에 이스라엘 방산업체 엘빗 시스템생사한 멀티 로터 드론 '토르'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무인기작전(멈티)을 펼친 셈이다. 지난달 6일 이스라엘 남부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로켓을 쏘자 정부 수집과 표적 획득, 정밀 타격을 하는 임무를 맡고 자율 드론으로 장비한 이스라엘2021.06.10 10:18
군당국과 해군이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3200억원 규모의 '근접방어무기체계(CIWS-II)' 시장을 놓고 LIG넥스원과 한화시스템이 혈전을 벌이고 있다. 두 회사는 9일부터 1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1'에 실물모형을 전시하고 수주 경쟁을 벌이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지난달 CIWS-Ⅱ 체계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설명회를 열고 제안요청서를 배부했다. 방사청은 내달 CIWS-Ⅱ 체계개발 입찰등록을 받고, 9월 업체 선정을 마칠 예정이다. 군당국은 올해부터 오는 2030년까지 3200억원을 투입해 개발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CISW는 대함 유도탄, 고속침투정, 테러 목적의 수상함 등의 위협으로부터 함2021.06.08 17:01
미국의 무인 공중급유기가 전투기에 급유하는 데 성공했다. 무인기 급유 시대가 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인공은 보잉의 MQ-25 스팅레이다.미국 방산업체인 보잉은 MQ-25 T1 훈련기가 4일 미 해군 F/18 수퍼호넷에 급유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현지시각) 발표했다. 보잉은 이로써 MQ-25는 다른 항공기에 급유한 역사상 최초의 무인기가 됐다고 강조했다.보잉은 MQ-25 스팅레이가 현재 F/A-18이 수행하고 있는 함재 급유기 역할을 맡을 것이며 이 덕분에 항모 전투 비행단의 작전거리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군은 지난 2014년 항모 무인공중급유기를 MQ-25 72대를 총 13억 달러에 구매하기로 했으며 조지 부시함에 첫 배치하기로2021.06.07 17:45
독일 방산업체 라인메탈디펜스가 호주 육군이 주문한 신형 '박서 CRV(정찰전투차량)' 차륜형 장갑차 211대 중 독일에서 생산한 1차분 25대를 호주군에 인도했다. 이로써 호주의 차기 장갑차 사업에서 독일 라인메탈의 KF 41 '링스'와 경합중인 한화디펜스의 AS21 '레드백'이 불리한 위치에 선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7일 미국의 방산 전문 매체 디펜스뉴스 등에 따르면, 독일 라인메탈은 독일에서 제조한 박서 CRV 25대를 공급했다고 2일 발표했다. 피터 더튼 호주 국방장관은 이날 호주 퀸즐랜드 레드뱅크에 있는 라인메탈디펜스호주의 군사차량우수센터(MILVECHOE)를 방문해 박서 장갑차를 인수했다. '박서'는 바퀴가 여덟개인 차륜형 장2021.06.06 18:11
미국이 아파치 헬기 29대와 관련 장비를 총 35억 달러(3조 9000억 원) 에 호주에 판매하는 방안을 승인하고 안보협력국(DSCA)이 이를 의회에 통보했다. 앞서 호주는 올해 1월 무장 정찰헬기 타이거ARH 대체기로 미국 보잉이 생산하는 아파치 가디언 AH-64E 공격헬기를 선정한 만큼 미국의 판매 승인이 날 것으로 예상됐다.그런데 호주가 도입하는 아파치 공격 헬기는 한국군 등 아파치 헬기 운용국이 도입한 것과는 다른 부분이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바로 롱보우 레이더를 장착한 헬기가 절반인 16대라는 점과 아파치 헬기에 장착하는 공대지 미사일인 헬파이어 구매는 85발로 줄이고 70mm 무유도 로켓을 정밀 유도 로켓포탄으로 만드는 유도2021.06.02 13:32
중국의 침공위협을 받고 있는 대만이 오는 8월 '항공모함 킬러(항모살수)'라는 스텔스 미사일 초계함 퉈장급 2번함 '타장'함을 취역시킨다.퉈장함은 대함 공격력과 함대공 방어능력을 향상시킨 고속 초계함이어서 대만해협을 건너려는 중국 해군에게는 상당한 골칫거리가 될 수 있는 군함으로 평가된다. 대만군은 오는 2023년까지 6척을 양산하고 이후 5척을 추가로 도입할 수 있다고 대만 언론들은 전했다.이와 관련해 오는 2026년까지 최대 11척이 완공될 예정이라고 네이벌뉴스는 지난달 9일 보도했다 퉈장급 고속 초계함은 초음속·아음속 함대함 미사일과 함대공미사일,어뢰와 함포, 무인헬기탑재기능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중국군 레이더에1
유명 트레이더 "리플 XRP 진짜 랠리는 아직 시작도 안 했다"2
미중 무역협상 진전 발표 후 비트코인 '의외의' 급락 왜?3
리플, 메타·애플 시총 넘어선다?...“XRP 25~50달러 전망” 빗발쳐4
엔씨소프트 기대작 '아이온2' 공식 브랜드 사이트 오픈5
리게티 컴퓨팅, 1분기 매출 감소…시간외 거래서 11% 폭락6
SEC 위원장 대대적 규제 개편·법정 공방 종료 선언에 리플 ‘들썩’7
유럽위원회, 체코 원전 계약 제동…한수원 외국 보조금 조사 '비상'8
리플 XRP 닮은 차세대 '레이어-1' 프로젝트 '칸치 네트워크' 주목9
연준 FOMC "금리인하 거부 " 미-중 관세인하 불구 "CPI 물가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