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16 16:11
중국이 트럭이나 헬기에서 발사하는 '자살 드론'을 개발했다. 이 드론은 트럭이나 헬리콥터에서 쏘아 벌떼 공격을 하는 드론이다.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익명의 중국 해방군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이 소식통은 이 드론은 중국군의 관민 융합 전략의 하나로 개발한 것으로 이 정책은 민간 분야의 지원을 통해 중국 인민해방군의 전력을 증강시키는 것이라고 전했다.이 드론은 중국 국영 중국전자과기집단공사(CETC) 산하 연구소가 개발한 것으로 지난달 테스트에 들어갔다. 트럭이나 헬리콥터에서 발사되면 떼를 지어 날다가 표적을 향해 자살폭격을 감행하는 게 특징이다. 중국 군사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더데2020.10.14 09:31
미국 정부가 대만에 신형 다연장로켓 등 첨단무기 3종 판매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에 들어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타이완에 첨단 무기 3종을 판매하기 위해 주말에 의회에 비공식 통지했다. 로이터 통신과 CNN 등 주요 매체들은 13일(현지시각) 주요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트럼프 행정부가 수출하겠다고 통지한 무기는 미국 최대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사가 개발한 트럭을 기반으로 한 로켓발사대인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 이하 하이머스), 보잉사의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인 SLAM-ER, 항공기에서 지상으로 사진과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는 F-16 전투기용 외부 센서이다.하이머스는 미 육군의 5t 전술트럭 FMATV에서2020.10.12 00:00
중국 군용기가 대만 건국 기념일에 방공식별구역(ADIZ)을 침범했다. 중국군의 대잠수함 초계기인 .Y-8Q이다. 최근들어 중국 항공기가 대만 ADIZ를 침범할 때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항공기다.대만 영자신문 타이완뉴스 중국의 대잠수함 군용기 Y-8이 10일 대만 ADIZ를 침범했다고 11일 보도했다. 10일은 대만의 건국기념일이었다. 9일에도 중국의 Y-8기와 Y-9기가 대만 ADIZ 구역에 침범했다.대만 국방부는 이달 들어 Y-8기의 침범이 일곱 번 이뤄졌으며, 지난달 16일 이후 중국 항공기가 영역을 침범한 것은 총 열여섯 번이라고 밝혔다.중국 군용기는 앞서 침범 당시에 그랬듯 이번에도 가오슝과 대만 소유의 둥샤 섬 사이 남서부 ADIZ 구역2020.10.11 15:33
북한이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공개해 파장이 커지고 있다. 북한이 이미 보유한 사거리 1만3000km의 화성-15형의 개량형, 화성-16형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미사일은 이날 열병식 방송의 마지막 순서로 등장했다. 11축 22륜의 이동식발사차량(TEL)에 실린 채 등장했다. 차량의 바퀴 수가 늘어난 것이다. 북한이 마지막으로 개발한 화성-15형 미사일TEL은 9축 9륜 즉 바퀴 18개다. 새 ICBM의 길이가 길어지고 직경이 굵어져 무거워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미사일 후미에는 화성-15형과 마찬 가지로 분리식 거치대가 달려 있다. TEL을 세우고 곧바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다.신2020.10.10 00:00
중국 공군기들이 최근 잇따라 대만이 정한 방공식별구역(ADIZ)을 침범해 대만 공군기들이 긴급출격하게 한 것은 대만 공군력을 소모·고갈시키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왔다.중국 인민해방군 Y-8, Y-9 대잠초계기가 대만 국경절을 하루 앞둔 9일 오전 대만 방공식별국역(ADIZ)를 침범해 남중국해에 동부에 있는 둥사섬 에 근접하자 대만 공군기들이 즉각 출격해 경고 방송을 보냈다.중국 전투기들이 올들어 1711번째 대만 ADIZ를 침범함에 따라 중국군의 의도가 무엇인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홍콩에서 발행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지난 8일 관측통들의 말을 인용해 중국 공군기의 대만방공식별구역 침범은 대만의 공군2020.10.08 14:39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둘러싸고 아르메니아와 전투를 벌이고 있는 아제르바이잔이 옛 소련제 'AN-2' 수송기를 무인기(드론)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송기는 북한도 최대 250대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기체로 북한도 정찰용 드론이나 자살폭탄 드론으로 운용할 가능성이 있어 우리군의 대응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미국의 방산 전문 매체 디펜스블로그 등은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간 전투에서 여러 대의 AN-2가 격추됐다고 지난 2일(현지시각) 전했다. 일부 외신은 6대가 격추됐다고 전해졌다.AN-2는 엔진 하나에 날개가 아래 위 두 개인 복엽 수송기다. 최고 속도가 시속 258km에 순항속도는 190km다. 기골과2020.10.06 16:03
일본이 전자전 능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년이 넘은 노후 전자전기 YS-11B를 최신 RC-2 전파정보수집기로 대체하기로 한 데 이어 해상자위대가 운영 중인 네 대의 EP-3C 오리온 전자정보수집기를 미국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의 C-130J 슈퍼 허큘리스 수송기를 도입해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6일 미국의 국제군사 전문매체 C4ISR넷과 디펜스블로그 등에 따르면, 일본 항공자위대는 지난 1일 서부 이루마(入間)기지에 최신형 RC-2 전자전기(ELINT) 1호기를 실전 배치했다고 트위터계정을 통해 밝혔다. 이루마 공군기지는 일본 항공자위대의 주요 보급 거점으로, 항공구난대사령부와 중부항공방면대사령부가 있는 기지다.이번에2020.10.04 12:56
미 공군이 MQ-9A 리퍼 공격 드론의 공대지 미사일 무장을 강화한다.현재 최대 4발을 탑재하는 데 이를 두 배인 8발로 늘리는 시험을 하고 있다. 공대지 공격 능력이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미국의 방산 전문 매체 에어포스타임스는 2일(현지시각) 미 공군이 지난달 AGM-114 공대지 헬파이어 미사일 8발을 장착하도록 개량된 MQ-9A 리퍼 드론의 최초 비행시험을 했다고 전했다. 미국 방산업체 제러널어토믹스가 생산한 리퍼 드론은 통상 양날개 하단에 각 두발씩 최대 4발의 헬파이어 미사일 혹은 헬파이어 4발과 500파운드(230kg) GBU-12 페이브웨이 레이저유도폭탄 2발을 장착한다.미 공군은 이날 배포한 자료에서 "네바다주 크리치 공군기지의2020.10.03 22:25
미국 정부가 한국에 단거리 공대공 사이드와인더 미사일 AIM-9X 블록2형의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의 한국 판매를 승인했다. 일단 쏜 다음 표적을 지정할 수 있는 미사일로 한국공군의 공중전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미국 국방부 산하 안보협력국(DSCA)은 2일(현지시각) 미국 국무부가 AIM-9X 사이드와인더 블록2형과 장비 등 1억 5810만 달러어치의 한국 판매를 승인했다고 발표했다.DSCA는 1일자로 이 사실을 미국 의회에 통지했다.한국 정부는 미국 측에 AIM-9X 블록2 115발, AIM-9X블록2 공중전모의훈련용 미사일(CATM) 50발, AIM-9X블록2 유도장치 20기 등의 판매를 요청했다.미사일은 미국 방산업체 레이시언이 생산한다2020.10.01 18:00
미국 공군은 지난달 방산업체 보잉에 22억 4000만 달러 규모의 SDB 폭탄 계약을 부여했다. SDB는 한국을 비롯해 네덜란드와 노르웨이,벨기에, 일본, 이스라엘이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도입하고 있는 정밀 활강 유도 폭탄이다.보잉은 최근 국방부와 7개국 고객을 위해 SDB를 생산하는 22억4000만 달러 규모 7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SDB는 '소구경폭탄(Small Diameter Bomb'을 뜻하는 영어 머릿글자를 따서 만든 것으로 정밀 활강 유도 폭탄을 말한다. 미군은GBU-39 SDB라고 부른다. 이 폭탄은 전투기와 폭격기, 무인기에서 투하하도록 설계됐다. SDB는 GBU-69B 자유낙하식 폭탄에 BRU-61A 거치대(캐리지), 미션 임무 장치등으로2020.09.29 14:46
중국의 군사력 증강에 대응해 군사력 강화에 나선 호주가 영국과 이탈리아 합작 방산기업인 레오나르도에서 'AW169M' 헬기 18대를 도입한다. 이 헬기는 AW169의 군용형이다. 호주는 이 헬기를 도입해 근 50년 써온 호주 육균의 알루엣III 헬기를 대체할 예정이다. 고성능 엔진을 탑재해 산악지형에 적합한 헬기로 알려진 AW169M이 도입된다면 호주의 작전 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클라우디아 태너 호주 국방장관은 레오나르도에 AW169M 쌍발 엔진 헬기를 3억 유로(3억5200만 달러)에 발주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태너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레오나르도가 유럽 방산업체 에어버스와 미국의 벨을 제치고 호주의 해상작저헬기를2020.09.28 16:02
중국군이 수상함을 찍듯 건조하고 있지만 미국 해군도 가만히 있지는 않는다. 최근 68번째 이지스 구축함 '델버트 D 블랙함'을 취역시켰다. 통상의 방공임무는 물론 탄도탄 방어 임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축함이다. 전세계에서 이지스 구축함을 68척이나 보유한 나라는 미국이 유일하다.한국은 세종대왕급 3척뿐이며 일본도 아타고급 등 6척에 취역을 앞둔 마야급 2척 등 8척이 전부이며 해군력이 급신장된 중국도 10척 남짓의 052D함을 보유하고 있다.28일 미국 국방부와 미국 조선업계에 따르면, 미 해군은 지난 26일(현지시각) 오전 10시 플로리다주 포트 커내버럴에서 알리버크급 이지스 구축함 68번째함인 델버트 D. 블랙함 취역식2020.09.27 14:38
공격 드론(무인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이 전투 드론이 소형 드론을 적재해 발사하는 시험을 벌이고 있어 이 소형 드론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항공 전문 매체 플라이트글로벌은 미국 방산업체 제너럴어코믹스(General Atomics Aeronautical Systems)가 지난 16일부터 이틀간 자사가 개발한 명품 공격 드론 MQ-9 '리퍼'에 '스패로호크(새매라는 뜻)'드론을 적재하 발사하는 시험을 벌였다고 26일(현지시각) 전했다.이번 시험에서 스패로호크 드론은 제너럴어토믹스가 개발한 메티스(Metis) 소프트웨어로 제어됐다. 이 프로그램은 지상 관제소나 차량이 아니라 랩톱 컴퓨터로 돌아간다. 랩톱과 스패로호크간 통신은 시벌러스(Sivlus테1
리플 XRP, 미국 최초 합법 암호화폐 등극…기관 투자자 '광풍' 오나?2
'고래'들의 귀환인가?...리플 XRP 8억 8,000만 개 '폭풍 매집'3
미중 무역협상 "공동성명" 트럼프 관세폭탄 전면 재검토 … 뉴욕증시 가상화폐 국채금리 달러환율 "환호"4
후끈 달아오른 암호화폐 시장...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 XRP 랠리 지속될까5
인도·파키스탄, 전격 휴전 합의했지만 수시간 만에 폭발음…양국 “상대가 먼저 위반”6
트럼프, 美 금융시장에 초대형 폭탄 예고...감세 영구화 등 세제 개편안 마련7
비트코인 10만5천 달러 육박…도지코인 21% 급상승8
AMTL 관련 업체들, TSMC· SK하이닉스에 특허 침해 소송 제기9
중국산 J-10 전투기, 인도-파키스탄 첫 공중전서 프랑스 라팔 격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