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지난해 12월 시중 유동성 29.7조 늘어…7개월 연속↑

공유
0

지난해 12월 시중 유동성 29.7조 늘어…7개월 연속↑

'광의 통화' M2, 한 달 새 29.7조원 증가
금리인하 기대감에 투자 대기자금 증가 원인
수시입출식·요구불예금에 돈 몰려
'협의 통화' M1도 23.7조 늘어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 5만원권 지폐가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 5만원권 지폐가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미국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투기 대기 자금이 늘면서 지난해 12월 시중 유동성이 30조원 가까이 불었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12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광의통화(M2, 계절조정계열·평균잔액)는 전월 대비 29조7000억원(0.8%) 증가한 3925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0.9%)보단 증가 폭이 축소됐다. 하지만 6월(3795조원)과 7월(3820조8000억원), 8월(3829조6000억원), 9월(3847조6000억원), 10월(3859조6000억원), 11월(3895조7000억원)에 이어 7개월째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을 의미하는 M2는 현금통화, 요구불 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M1(협의통화)에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시장형 상품, 머니마켓펀드(MMF), 수익증권 등 현금화하기 쉬운 단기 금융상품들이 포함된다.

상품별로 보면 수익증권으로 12조7000억원이 유입돼 전월(8조7000억원)보다 유입액이 증가했다. 주식형·채권형·파생형 펀드의 증가세가 지속된 영향이다.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과 요구불 예금으로 각각 11조4000억원, 10조8000억원이 유입됐다. 일부 은행의 규제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자금 유치 노력과 정기 예적금 금리 하락에 따른 투자 대기 자금 유입 등의 영향으로 큰 폭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수익증권의 경우 주식형·채권형·파생형 펀드 증가세가 지속됐고, 수시입출식·요구불 예금은 일부 은행의 규제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자금 유치와 정기 예적금 금리 하락에 따른 투자 대기 자금 유입 등으로 늘었다"고 말했다.

경제 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 증권사 등 기타 금융기관에서 통화량이 각 12조6000억원, 7조1000억원 늘었다. 반면 기업에서는 시장형 상품과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5조9000억원 감소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인 M1은 전월 대비 23조7000억원(2.0%) 늘어난 1225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