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00:3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노 킹스(No Kings)’ 시위가 18일(현지시각) 미국 전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열렸다고 미국 정치매체 더힐이 보도했다. 주최 측은 “이번 집회가 현대 미국사에서 최대 규모의 항의 시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해외 2000여곳서 동시 집회더힐에 따르면 이번 시위는 50개 주 전역과 유럽·캐나다·멕시코 등 해외 도시에서도 동시에 진행됐다. 수도 워싱턴DC에서는 수천 명의 시위대가 국회의사당 앞 내셔널몰로 행진했고 뉴욕 타임스스퀘어와 로스앤젤레스, 보스턴 등 주요 도시 곳곳에서도 ‘No Kings, No Dictators(왕도, 독재자도 없다)’ 구호가 울려 퍼졌다. 집회를 주최한2025.10.19 00:00
비트코인 또 10억달러 레버리지 청산... 뉴욕증시 암호화폐 ETF 대거 이탈 비트코인(Bitcoin, BTC) 시장에서 9억 1,600만 달러 규모의 롱 포지션 청산이 또 발생했다. 19일 뉴욕증시와 암호화폐 업계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대규모 청산을 촉발했다. 최근 2주 연속 11만 달러 이상 가격대를 지키는 데 실패하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냉각됐다.이와 관련해 크립토버드(CryptoBird)는 과거 사이클 패턴에 근거해 “강세장은 10일 뒤 끝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비트코인 사이클 저점 이후 1,058일이 경과했으며, 이는 전체 사이클의 99.3%가 완료된 지점이라고 설명했다. 사이클 고점 예상일은 10월 24일로, 그는 “전형적인 정점 직전2025.10.18 22:13
컴투스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 e스포츠 대회 '서머너즈 워 월드 아레나 챔피언십(SWC) 2025'의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 우승자는 베트남의 'PU'로 확정됐다.부산시 부산이스포츠아레나에서 18일 오후 2시에 열린 SWC 2025 아시아·퍼시픽컵 결승전에서 PU 선수는 일본의 'TAKUZO10' 선수를 세트 스코어 3:1로 물리치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이로서 PU 선수는 준우승자 TAKUZO10, 3위 'KELIANBAO'와 함께 아태 지역 대표로서 SWC 월드 파이널에 진출하게 됐다.컴투스는 이날 부산이스포츠아레나 경기장에서 승부 예측 이벤트와 퀴즈, 럭키 드로우, 포토존 등을 설치해 게이머들과 함께하는 공간을 마련했다.또 본 경기를 유튜브를 통해2025.10.18 22:12
넷마블의 '뱀피르'와 엔씨소프트 '리니지M'이 국내 구글 플레이스토어 매출 왕좌를 두고 순위 경쟁을 벌이고 있다.아이지에이웍스 앱 통계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뱀피르는 이달 14일을 기점으로 리니지M을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다. 뱀피르는 지난 8월 26일 국내 출시, 9월 4일 구글 매출 1위에 오른 후 3주 연속 그 자리를 지켰다. 지난 5일 넥슨 '마비노기 모바일'이 잠시 1위에 올랐으나 이후 리니지M과 더불어 1, 2위 자리를 되찾았다.마비노기 모바일은 지난주 4위에 이어 이번주 7위에 오른 가운데 '로블록스'가 톱5로 치고 올라갔다. 지난주 매출 9위였던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13위에 자리 잡았으며 12위는 마이크2025.10.18 20:5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아시아를 방문할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을 비공개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미국 CNN은 18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때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을 비공개로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실제 회담 성사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보도에 따르면 이번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미 정상간 회동을 논의해왔지만 실제 회담의 진행에 필요한 진지한 계획은 전혀 세우지 않았다고 전했다.소식통 2명은 트럼프 행정부가 올해 초 북한에 접촉을 시도했으나 북한이 서한을 받지 않았고 이 때문에 아무런 응2025.10.18 20:0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반대로 글로벌 해운업계의 해운 온실가스 감축 종합계획 채택이 끝내 연기됏다.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는 1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본부에서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를 열어 '선박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조치' 채택 여부를 논의했지만 '1년 연기'로 결론이 났다. 일단 표면적으로는 '표결 1년 연기'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이 계획에 찬성투표를 하는 국가들에 강한 불이익을 주겠다고 공언하고 있어 내년 통과 가능성도 낮은 상황이다. 앞서 IMO는 지난 4월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 관련 조처를 승인했다.규제안에 따르면 국제수역을 지나는 5000톤(t) 이상 화물선과 여객선 등 선박은 I2025.10.18 19:43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됐던 정부 전산시스템 709개 중 367개가 복구됐다.1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709개 시스템 중 367개가 복구됐다. 복구율은 51.8%이다.이날 새롭게 복구한 시스템은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정보(2등급),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포털 시스템(2등급), 해양수산부의 내부업무 포털(3등급), 조달청 업무지원(4등급) 등이다.다만 일부 시스템은 복구가 완료됐더라도 일부 기능이 여전히 제한된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행안부의 1365자원봉사포털(2등급)도 복구됐으나 통합검색과 다른 자원봉사시스템과의 연계 등 일부 기능은 제한되고 있다.과기부의 회계분석(4등급)도 재개2025.10.18 19:34
리플 XRP 가격이 지난 30일 동안 약 23% 하락하며 이번 분기 최대 낙폭을 기록했으나, 최근 24시간 동안 6% 상승하며 회복 조짐을 보였다. 여러 기술 및 온체인 지표들은 최악의 상황이 지났음을 시사하며 매도 압력 약화와 잠재적 반등의 초기 징후를 나타냈다.투자자 손실 심화, 시장 바닥 시그널?18일(현지시각) 암호화폐 전문매체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최근 온체인 데이터를 보면 투자자들이 피로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시장이 바닥을 칠 때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다. 순미실현손익(NUPL) 지표는 투자자들이 수익을 내는지, 손실을 보고 있는지를 측정하는데, 이 수치가 크게 마이너스로 전환되면 투자 포기 단계로 해석된다.XRP의 단기 보2025.10.18 18:21
국내 주유소 휘발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4주 만에 하락 전환했다. 다만 경유 가격은 4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국제 유가가 내리면서 다음 주에도 휘발유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경유 가격도 조만간 꺾일 것으로 기대된다.18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13∼16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전주 대비 리터(L)당 0.5원 내린 1662.7원으로 집계됐다.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로 전주 대비 2.1원 하락한 1723.1원이다. 가격이 가장 낮은 곳은 대구로 0.4원 내린 1633.2원이다.상표별로는 SK에너지 주유소가 L당 평균 1672.3원으로 가장 높았고, 알뜰주유소가 1636.0원으로 가장 낮았다.경2025.10.18 17:36
미쓰비시UFJ은행, 미쓰이스미토모은행, 미즈호은행 등 일본 대형은행 3곳이 엔화 표시 스테이블코인의 공동 발행을 추진한다.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는 일본에서 3대 메가뱅크로 불리는 이들 은행들은 규격을 통일한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우선은 엔화로 표시되는 스테이블 코인을 검토 중이며 향후에는 달러 표시도 발행할 계획이다. 발행한 코인은 미쓰비시상사의 사내 자금 결제용으로 사용될 전망이다. 송금시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하면 수수료를 절감 이점이 있다.닛케이는 "대형은행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추진은 미국 주도의 달러 연동형 스테이블코인이 일본에서 확산될 것에 대한 경계감도 배경"이라고2025.10.18 16:36
미중 무역 갈등 우려가 재점화한 가운데 양국 경제 수장이 소통에 나서면서 양국간 무역 갈등이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중국 신화통신은 18일 오전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와 화상 통화를 했다고 보도했다.신화통신은 "양측은 올해 이래 양국 정상이 통화에서 한 중요 합의를 이행하는 문제를 중심에 놓고, 양국 경제·무역 관계의 중요 문제에 관해 솔직하고 심도 있고 건설적인 교류를 했다"면서 양국이 경제·무역 협상을 개최하는 데 동의했다고 전했다.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1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미·우크라이나2025.10.18 15:00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 선박에 대한 가파른 항만 수수료를 15일 발효시키면서 글로벌 해운 회사들이 선박 우회와 기업 구조조정으로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17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미국은 글로벌 조선업에서 중국의 지배력을 축소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중국과 연계된 선박에 막대한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고, 중국은 명백한 보복 조치로 미국 소유 또는 운영 선박에 유사한 관세를 부과했다.유럽의 거대 해운 기업 머스크와 하팍로이드는 제미니(Gemini)라는 동맹의 회원으로 협력하고 있으며, 미국 국적 선박 두 척을 중국 항구에서 우회함으로써 새로운 수수료에 가장1
중국 스텔스 전투기 J-20 벌써 300대…한국 KF-21 보라매 2026년 실전 배치2
XRP '고래' 투자자 수 사상 최고치 경신…리플 전략·ETF 기대감 반영3
테슬라, 삼성의 심장 화성에 R&D 거점…'생산' 넘어 '설계' 동맹으로4
테슬라, 머스크 개인 회사 ‘xAI’ 투자 추진 논란…주주들 “이익 충돌” 반발5
2차전지 관련주, 10월 들어 시가총액 급증…LG엔솔 주도 '대반격'6
테슬라 실적·9월 CPI에 촉각7
리플, ‘지트레저리’ 인수로 JP모건·골드만삭스 연결고리 확보8
금값 과열 경고 속 비트코인 등 대체 자산으로 자본 순환 가능성9
"XRP 투자 성공은 '인내심'이 핵심…'공황매도' 하지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