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07:22
한국의 대표 수출 무기체계인 K2 흑표전차 생산량이 크게 늘었지만, 모든 물량을 해외 수출에 돌리면서 한국군 전력 보강에 빈틈이 우려되고 있다는 소식이다.지난 9일(현지시각) 아미레커그니션(armyrecognition) 보도에 따르면, 현대로템이 K2 전차를 달마다 10대 넘게 만드는 체제로 바꿨지만 모든 물량을 폴란드 수출 계약 이행에 쏟아붓고 있다.지난 5일 한국 국방미디어진흥원(KFN)이 공개한 다큐멘터리 예고편을 보면 현대로템의 K2 블랙팬서 주력전차 생산라인이 2025년 7월 기준 달마다 10대 넘게 만드는 최대 규모로 돌아가고 있으며, 이 모든 생산을 폴란드 방위 계약 이행에만 돌리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기존 달 평균 3~42025.07.10 07:0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각) 브라질산 수입품에 대해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을 비롯해 8개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특히 브라질에 대한 50%의 관세 부과는 지난 4월 초 부과한 10% 관세에서 대폭 상향된 수치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알제리, 리비아, 이라크 및 스리랑카에 대해 3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브루나이와 몰도바에는 25%, 필리핀에는 20%와 관세가 각각 적용될 예정이다. 브라질을 제외한 기타 국가에 적용된 관세는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 예고한 국가별 관세 수준과 대체로 일치한다. 이라크에 대한 관세는 당초 39%에서2025.07.10 07:00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오는 11~13일 북한을 방문한다고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방북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6월 24년 만에 평양을 방문한 이후 1년여 만에 이뤄지는 고위급 외교 접촉이다.조선중앙통신은 "북한 외무성의 초청에 따라 러시아 외무상 세르게이 라브로프 동지가 7월 11일부터 13일까지 우리나라를 방문한다"고 밝혔다. 통신은 라브로프 장관의 방북 목적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최선희 북한 외무상과 회담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예방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러 포괄적 전략동반자 협정 후속조치 논의이번 라브로프 장관의 방북은2025.07.10 06:29
국내 중견 선사 장금상선(Sinokor Merchant Marine)이 HD현대에 8348억 원을 들여 새 컨테이너선 4척을 주문하며 대형선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고 조선 해운 전문 매체 스플래쉬247이 지난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HD현대의 조선 부문 지주회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공시에서 6억 1100만 달러(약 8348억 원)짜리 컨테이너선 4척 건조 계약을 따냈다고 밝혔다. HD한국조선해양은 계약 상대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여러 조선업계 소식통은 이 선박의 주인이 장금상선이라고 확인했다.이번에 주문한 선박은 1만 3000TEU급 컨테이너선이다. 배기가스 정화장치인 스크러버(황산화물 저감장치)를 달아 강화하는 국제 환경 규제에 대응한다. H2025.07.10 06:27
수년 동안 세계 시장을 제패해온 중국 조선업의 독주 체제에 금이 가고 있다. 미국 정부의 강력한 제재와 세계 발주 감소라는 이중고가 겹치면서 중국의 신규 선박 수주량이 급감했고, 그 반사이익은 한국 조선업계로 향하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클락슨리서치는 최신 보고서에서 2025년 상반기 중국 조선업계의 신규 수주량이 2630만 재화중량톤수(DWT)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 급감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올 상반기 세계 신규 수주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지난해 75%에서 56%로 곤두박질쳤다. 반면 같은 기간 한국은 1420만 DWT를 수주해 지난해보다 7% 줄어드는 데 그쳤다. 수주량은 조금2025.07.10 06:23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크고 아름다운 법안'이 미국 산업계에 뚜렷한 희비를 가져왔다고 지난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법안은 2017년 도입한 법인세 인하를 연장하고, 사모펀드와 화석연료, 방위산업에는 큰 이익을, 재생에너지와 실리콘밸리 대표 기업에는 불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안은 미국 하원에서 218대 214로 통과됐다.◇ 사모펀드·방위산업 '수혜'...재생에너지·IT기업 '직격탄'사모펀드와 금융권에서는 우선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사모펀드와 사적 자본시장에는 유리한 조항이 다수 들어갔다. 성과보수(캐리드 이자)에 대한 세제상 허점이 그대로 남아 블랙스톤, 아폴로 같은 대2025.07.10 06:20
다음 주로 예정된 미국의 ‘크립토 위크(Crypto Week)’를 앞두고 미국 의회가 세 건의 주요 암호화폐 관련 법안을 논의할 예정인 가운데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등 주요 가상자산에 대한 강세 전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9일(현지시각) 미국 가상자산 매체 크립토 타임즈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예정된 ‘크립토 위크’ 기간에 ▲클래러티(CLARITY) 법안 ▲CBDC 감시국가 방지법(Anti-CBDC Surveillance State Act) ▲상원을 통과한 지니어스(GENIUS) 법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클래러티 법안은 가상자산 규제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 법안으로 지난 202025.07.10 06:10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 대부분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계속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연준이 공개한 지난달 17~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에서 이 같은 내용이 확인됐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0일(현지 시각) 전했다. 회의록에 따르면 일부 금리 결정자들은 관세 인상이 한 번만의 가격 상승을 불러올 것으로 믿었지만, 대부분은 인플레이션 영향이 더 오래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관세가 한 번만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며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대부분의2025.07.10 05:58
뉴욕 주식 시장이 9일(현지시각) 일제히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날 필리핀, 이라크 등 7개국에 8월 1일부터 적용되는 상호관세율을 통보하는 무역서한을 보냈지만 시장은 동요하지 않았다.나스닥 지수는 3거래일 만에 사상 최고 주가 기록을 갈아치웠다.한편 전날 사상 처음으로 160달러 주가를 찍은 엔비디아는 이날 장중 시가총액 4조 달러 문을 열었다. 마감가 기준으로는 4조 달러 시총에 못 미쳤지만 클럽의 문을 활짝 열어젖혔다.엔비디아 주가는 이틀 연속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전날 보합권의 혼조세로 마감하며 트럼프의 관세 전쟁을 숨죽여 지켜보던 주식 시장은 이날 상승세로 확실하게 방향을 잡았다.다우존스2025.07.10 05:55
중국이 지난해 미국에 대한 핵심광물 수출을 금지한 이후, 미국 기업들이 태국과 멕시코를 경유해 중국산 광물을 우회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세관 및 선적 기록에 따르면, 최소 한 개의 중국 소유 회사가 이 거래에 관여하고 있다고 9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중국은 배터리, 칩, 난연제에 사용되는 안티몬뿐만 아니라 통신, 반도체, 군사 기술에 사용되는 갈륨과 게르마늄의 공급을 지배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12월 3일 중국의 칩 부문에 대한 미국의 단속에 따라 이러한 광물의 미국 수출을 금지했다.미국 세관 자료에 따르면, 미국은 12월과 4월 사이에 태국과 멕시코로부터 3,834미터톤의 안티몬 산화물을 수입했다.2025.07.10 05:54
삼성전자가 비관적인 2분기 실적 전망을 내놓자 경쟁사인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주가가 동반 하락했다.마이크론 주가는 9일(현지시각) 1.8% 하락하며 고전했다.뉴욕 주식 시장 3대 지수가 동반 상승세를 탔지만 마이크론은 약세였다.삼성전자의 저조한 실적에 따른 마이크론의 반사이익이 오래 못 갈 것이란 비관 전망이 마이크론 주가를 끌어내린 것으로 보인다.반토막 난 영업이익삼성전자는 앞서 8일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비 56% 급감한 4조6000억 원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런스에 따르면 팩트세트 집계에서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은 6조3590억 원을 예상했다. 시장의 낮아진 눈 높이도 충족하지 못하는 저조한 성적을 예고2025.07.10 05:51
중국이 심한 물가 하락 압박을 받으면서 경제 회복을 가로막고 있다. 로이터 통신이 지난 9일(현지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6월 경제지표에서 생산자물가지수(PPI)가 1년 전보다 3.6% 떨어져 2023년 7월 이후 가장 많이 내렸다.이는 5월의 3.3% 하락보다 더 나빠진 수치로, 로이터 여론조사 예상치인 3.2% 하락을 훨씬 웃돌았다. 반면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0.1% 올라 5월의 0.1% 하락에서 5개월 만에 오름세로 바뀌었다.월간 기준으로는 소비자물가가 5월의 0.2% 하락에 비해 0.1% 떨어져 경제학자들의 예상치와 같았다. 변동이 큰 식품과 연료 가격을 뺀 근원 인플레이션은 6월 1년 전보다 0.7%로 급2025.07.10 05:50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가 9일(현지시각) 결국 시가총액 4조 달러 클럽의 문을 열었다.엔비디아는 장중 전일비 4.42달러(2.76%) 급등한 164.42달러까지 오르며 상장사 가운데 최초로 시총 4조 달러를 돌파했다.엔비디아는 주가가 163.93달러 이상만 되면 시총 4조 달러가 가능하다.이날 시총 4조 달러를 뚫은 엔비디아가 조만간 시총 5조 달러 벽도 깰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사상 최고엔비디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2기 행정부가 출범하기 직전인 1월 6일 149.43달러로 마감하며 사상 최고 주가 기록을 갈아치웠다.그러나 이후 주가는 약세로 반전했다.트럼프 대통령이 1월 20일 취임하면서 관세 전쟁을 시작하고, 엔비디아의 대1
토레스 판사, 리플-SEC 사건 종결 절차 돌입 시사 서한 접수2
뉴욕증시 테슬라 돌연 급등 머스크 "로보택시 자율차 중대 발표"3
비트코인 2차 폭발 "뉴욕증시 암호화폐 주간 선포" ...지니어스법 통과4
아이온큐 8.97%↓·리게티 6.52%↓...양자 컴퓨팅 관련주 동반 급락5
구글 AI 제미나이, 리플 XRP 2025년 20달러 돌파 예측6
한화오션, '존스법 장벽' 넘는다…韓 건조 LNG선, 美 선적으로 미국행7
한화오션, 미주 지역 선주와 4924억 LNG 운반선 2척 수주8
인도네시아, 한국과 캐나다에 원전 협력 제안…우라늄 2만 4112톤 보유 강점 내세워9
거대 고래 지갑, XRP 1150억 달러 매집...2.50달러 돌파 ‘가시권’